서울성모병원병리과정찬권교수
서울성모병원병리과정찬권교수
서울성모병원 병리과 정찬권 교수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간하는 내분비와 신경내분비종양 분류 제5판(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5th edition. Endocrine and Neuroendocrine tumours) 교과서 집필에 공동저자로 참여했다.

WHO 종양분류 교과서 시리즈 중 내분비종양 분류는 2017년 제4판이 출간된 이래 5년 만에 개정되었다.

정찬권 교수는 가장 흔히 발생하는 갑상선암 종류인 유두암종을 비롯하여 소포암종, 피막침습형소포변이유두암종, 체모양-오디모양갑상선암종, 유두암종유사핵모양비침습소포종양(NIFTP), 악성도불명갑상선종양 등의 분야를 집필하였다.

더불어, 정 교수는 WHO 교과서 온라인 판의 주요개정 내용을 소개하는 대표 저자로 선정되어, 이를 내분비병리학(Endocrine Pathology) 의학저널 3월호에 ‘2022년 세계보건기구 갑상선종양분류 개요(Overview of the 2022 WHO Classification of Thyroid Neoplasms)’라는 제목으로 소개했다.

갑상선암은 한국인 여성암에서 유방암 다음으로 가장 흔히 발생하며, 수술 받은 갑상선암 환자 대부분은 암이 없는 일반인과 거의 유사한 장기 생존율 보이기 때문에 과다진단 및 과잉치료에 대한 논란이 많은 질환이다.

이와 관련해 정교수는 경계성갑상선종양을 정확히 찾아낼 수 있는 진단 기준을 미국 병리학회지에 발표해 세계적으로 크게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정 교수는 “우리나라의 암 환자 진료 수준은 전 세계적으로 최상위일 뿐만 아니라 의학 연구 논문 또한 높은 수준을 인정받고 있다. 이에 반해, 전 세계 권위자가 참여하는 WHO 종양 분류 교과서의 집필에서는 많이 소외 되고 있다.” 며, “앞으로 국내 의료진의 연구와 학술에 대한 국제적 교류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져, WHO 교과서 집필에도 많이 참여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