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청라국제병원정세진원장
인천청라국제병원정세진원장
현대인이 겪는 다양한 척추질환은 잘못된 자세와 연관이 깊다. 스마트폰, PC 등의 전자기기 사용 증가로 고개를 앞으로 내밀거나 숙이는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는 이들이 늘면서, 목디스크 위험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자세는 목의 중심이 앞으로 쏠리면서 C자형의 정상적인 목뼈 형태가 일자로 변하는 일자목을 유발하며, 변형이 심해져 역 C자형으로 변형된 거북목을 유발한다. 일자목, 거북목과 같이 경추 형태가 정상보다 앞으로 굽은 형태로 변하면, 목이 받는 압력이 점점 더 커지면서 목디스크를 유발할 수 있다.

목디스크는 경추 뼈와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추간판(디스크)이 제자리를 이탈해 발생한다. 잘못된 자세나 습관, 외부 충격 등으로 지속한 압박, 충격을 받은 디스크가 이탈하면서 신경을 눌러,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초기에는 단순히 목덜미가 뻣뻣한 느낌이 들거나, 목이나 어깨 등이 결리는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 방치하기 쉽다. 하지만 증상이 진행될수록 목을 비롯해 어깨, 날개뼈 등에 통증이 나타나고, 손이나 팔이 저리고 감각이 둔화할 수 있다. 이를 방치해 증상이 악화하면 하반신 마비나 전신마비와 같은 심각한 상태까지 이를 수 있어, 증상이 의심되면 초기에 의료기관으로 내원해 치료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디스크 초기 증상이 심하지 않은 때라면 약물치료와 도수치료, 도수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보존적 치료만으로 호전되지 않거나 목디스크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목디스크 수술에는 신경을 누르는 디스크 조각을 제거하는 수술과 인공디스크 치환술 등이 있다.

목디스크는 장시간 고개를 숙이는 자세 외에도 지나치게 높은 베개를 사용하거나 목에 무리를 주는 행위 등이 원인이 된다. 목디스크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목에 무리를 주는 행위를 삼가는 것이 중요하며, 수면 시 너무 높은 베개보다는 적절한 높이의 베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장시간 목에 무리를 주는 자세나 같은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틈틈이 스트레칭으로 목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초기 목디스크의 경우 보존적 치료만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평소 원인이 불분명한 두통이나 목 및 어깨 통증, 손, 발 저림 등의 의심 증상이 있다면 조속히 의료기관에 내원해 정확한 검사 후 조기 치료받을 것을 권장한다.

(글 : 청라국제병원 정세진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