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담튼튼병원척추외과홍기선원장
청담튼튼병원척추외과홍기선원장
허리가 아프다면 흔히 떠올릴 수 있는 질환이 ‘허리디스크’이다. 허리디스크의 정확한 명칭은 추간판 탈출증이다. 척추에는 뼈와 뼈 사이에 디스크라고 불리는 추간판이 있는데, 추간판은 허리의 유연한 움직임을 도와주고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

그런데 어떤 원인에 의해 디스크가 밀려나오고 튀어나오게 되면 염증이 생기고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원인으로는 주로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가 있다. 최근에는 20-30대 중에서도 오래 앉아 있거나 허리에 강한 충격을 받아 허리디스크에 걸리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허리디스크의 증상으로는 우선 허리 통증이 있겠지만 그 외에도 엉치를 비롯한 하반신에 저리는 느낌과 당기는 듯한 마비감이 생기는 것도 있다. 허리디스크가 심해지면 신경을 심하게 눌러 갑작스럽게 대소변 장애가 생길 수도 있거나 발가락이나 발목을 움직일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는 빠르게 수술적 치료를 상담해야 하지만 통증이 지속적이고 일상생활을 할 수는 있는 경우라면 비수술적 치료를 먼저 시도해 보아야 한다. 비수술적 치료에는 물리치료, 운동치료, 주사치료, 도수치료, 약물치료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수술적 치료로도 효과가 없다면 미세 현미경으로 수술 시야를 넓혀 신경 및 혈관 손상 없이 병든 디스크를 제거하는 미세현미경 디스크 제거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허리디스크는 노화에 따른 척추 퇴행에 의해 진행되기 쉬우므로 근육이 약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평소 꾸준한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고 비스듬한 자세로 장시간 의자에 앉는 습관,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릴 때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는 동작 등을 피하는 것이 좋다.

(글 : 튼튼병원 척추외과 홍기선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