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음주, 근력운동 미실천, 장시간 앉아서 보내는 경우 비만 위험 높아... 남자 30~40대 특히 심해, 여성은 여자 20~30대에서 증가

질병관리청이 30일,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비만 심층보고서’를 발간하며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2008년(연중조사 전환 시기) 이후 2021년까지 성인(만19세 이상) 비만 주요 지표의 장기간의 추이 및 관련요인, 코로나19 유행 전‧후의 변화를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만 19세 이상 남성은 전 연령에서 2008년 이후 매년 비만(체질량지수 25kg/m2이상) 유병률이 약 2%씩, 2단계이상 비만(체질량지수 30kg/m2이상) 유병률은 약 6%씩 증가 중이다.

남성의 비만 관련요인으로는 “높은 교육수준, 사무직, 고위험음주”가 전연령에서 공통적으로 꼽혔으며, 연령별로는 19~39세는 흡연과 근력운동 미실천, 40~59세는 근력운동 미실천과 지방 과잉 섭취 그리고 앉아서 보내는 시간(8시간 초과)이 원인으로 지적됐다.
성인 여성의 경우, 비만율은 큰 변화는 없었으나, 2단계이상 비만 유병률은 2008년 이후 매년 3.1%씩 증가세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19~39세에서 비만율이 연 2.0% 증가하고 있으며, 2단계이상 비만율은 2014년 이후 연 10.3% 증가 증가가 뚜렷했다. 다만, 코로나19 유행 전과 후에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남자의 모든 연령층에서 비만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비만 관련요인은 남녀 간에 차이가 있어, 이를 고려하여 차별화한 관리 대책이 필요하며, 비만 증가가 뚜렷한 남자 30~40대, 여자 20~30대를 대상으로 고위험음주, 신체활동 미실천, 식생활 불균형 등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해 보인다”고 밝혔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