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급여를 통제를 위해 악용될 소지 높아... 환자와 의료인의 기본권 침해 막기 위해 적극적 대응할 것

대한의사협회관전경
대한의사협회관전경
23일 헌법재판소가 ‘의료 비급여 보고제도’에 대해 합헌 결정을 내린 것에 대해 대한의사협회가 성명을 내고 유감을 표했다.

의협은 24일 성명서를 통해 “표면적으로는 국민의 알권리와 의료선택권 보장이라는 형식을 취하나, 그 실질은 환자와 의료인의 기본권 침해소지가 높다”며 “기본권 보장을 최고 가치로 하는 헌법재판소가 이번 합헌 결정을 내린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서에서 “비급여 진료내역 등의 보고는 개인의 민감한 의료정보를 국가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의사의 양심의 자유와 직업의 자유뿐만 아니라, 의료소비자인 국민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하며,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는 최저가 경쟁을 촉발시켜 소규모 영세 의료기관의 운영을 어렵게 할 수 있다”며 이 법안이 의사들의 직업의 자유를 침해할 소지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또 “비급여 진료비용의 보고 및 공개제도가 국민의 알권리와 의료선택권 보장이 취지라면, 그 대상은 항목과 금액만으로 충분하다”며 “환자 성별이나 생년과 같이 극히 사적인 기본정보는 물론 질병, 치료내역, 복용약 등 민감한 진료정보까지 왜 필요한지 의구심이 들며, 이는 결국 비급여를 통제하고 국민의 진료정보를 집적하려는 의도라고밖에는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도 “보고의무조항과 관련 의사들의 기본권 침해 의견도 있었던 만큼 의사의 직업의 자유에 대한 침해소지가 분명히 존재하며, 2002년 및 2014년 강제지정제 위헌 소송 결정의 합헌 결정과도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성별, 생년, 질병, 치료내역, 복용약 등 민감한 진료정보를 포함한 것은 위임입법의 한계를 일탈한 문제점이 있을 뿐더러 비급여 통제를 위해 악용될 요지가 높다는 것.

의협은 “비급여 보고제도와 관련한 회원들의 기본권 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가겠다”고 밝혔다.

헌법재판소는 2021년 의료계에서 제기한 비급여 진료비용의 보고 및 공개에 관한 사건([2021헌마374, 2021헌마743, 2021헌마1043(병합) 의료법 제45조의2 제1항 등 위헌확인])에 대해 관련 헌법소원심판 청구에 대해 합헌 결정을 내렸다.

다만 보고의무조항과 관련하여 4명의 재판관은 “환자의 개인정보와 건강상태에 관한 모든 정보를 보고대상인 ‘진료내역’에 포함시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보고대상인 비급여 진료내역의 범위를 예측하기 어려우며, 비급여 영역을 사실상 국가의 감시와 통제 하에 두는 결과를 초래하며 의료수준이 저하되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