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경험하는 것처럼 여기게 되는 거울뉴런 효과 ... 시청각 매체 노출 최소화해야

경희대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김윤나 교수는 “이번 이태원 참사는 우리가 평소 쉽게 노출되기 쉬운 상황에서 일어난 일이라 여느 사고보다 충격이 크다”며 “대다수의 사람들이 행사나 지하철 등에서 군중에 의해 밀렸던 경험이 있다 보니 나도 그런 위험에 빠질 수 있겠다는 불안을 느낄 수 있으며, 세월호 사고 이후 시대의 가치관을 흔드는 집단 트라우마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인터넷과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현장에 없었던 사람들조차 매체에서 쏟아내는 현장사진, 동영상을 보며 동등한 충격을 받고 있다. 우리의 뇌에는 ‘거울 뉴런(mirror neuron)’이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모습을 보면 나의 뇌에서도 그 모습과 관련된 신경이 작동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뇌에서는 마치 내가 그 상황에 있는 것과 같은 착각을 하기 쉽기 때문에 시청각 매체의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김윤나 교수는 “직접 경험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거울 뉴런 작용으로 인해 무력감, 공포, 고통, 불면, 예민함 등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회복하는데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찰이 동반되어야 한다”며 “평소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등을 겪고 있는 환자들은 더욱 취약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켜야할 생활 수칙들이 있다. 먼저 특정 시간대가 되면 매체 사용을 줄이고 나의 생활로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저녁이 되면 잡념이 많아지고 감정이 더 취약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저녁 7시 이후부터는 자극적인 매체 정보로부터 멀어지는 것이 중요하며,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어렵다면 텍스트 정보로만 접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