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에 따른 건강수명의 격차가 최대 8.67년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최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윤석준 교수팀은 2008년부터 2020년까지 건강보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대한의학회 학회지를 통해 발표했다. 소득, 성별, 지역별 건강수명의 차이를 다뤘다. 연구팀은 기대수명에서 질병이나 장애로 생활이 제한되는 기간을 제외한 '건강수명'을 기준으로 분석했다.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의 건강수명은 2008년 68.89세에서 2020년 71.82세로 약 2.93년 증가했다. 그러나 소득 수준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났다. 소득이 가장 높은 상위 20%는 건강수명이 74.88세였던 반면, 하위 20%는 66.22세에 불과했다. 두 그룹 간 차이는 8.67년
첨단 의/과학의 발달에 힘입은 기대수명 100세. 과거 조선시대쯤에 비유하자면 한국인의 수명은 2배 가량 늘었다. 그런데 건강 100세가 아니라 질병에 허덕이며 가늘고 길게 가는 100세 시대가 예고되어 우려스럽다. 최근 한 대학병원의 연구에서 지금의 3040세대는 과거 부모님 세대 동일 연령대와 비교했을 때 더 빠르게 노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분석하여 충격을 주고 있다. 또한 조기 만성질환에 시달리며 힘겨운 노년생활을 맞게 되는 아프면서 100세시대를 맞이할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조기 노화와 조기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은 비만, 스마트기기, 스트레스 증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 번째 비만은 많이 먹고 덜 운동하는 생활패...
기대 수명 증가에 비해 건강 수명은 줄어들어 건강을 관리해야 하는 기간이 더 길어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2년 평균 80.87세였던 기대 수명이 2018년 82.7세로 길어졌지만, 같은 기간 오히려 건강 수명은 65.7세에서 64.4세로 짧아졌다. 얼마나 건강을 잘 유지하고 신체를 잘 사용하는 데에 관심이 커졌다. 게다가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여겨졌던 퇴행성 관절염이나 치매의 발병 연령대도 낮아지면서 건강한 노후가 위협받고 있다.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다면 미리 확인하고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한다.50대 퇴행성 관절염 23%, 대사증후군과 심혈관질환도 위험퇴행성 관절염은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단순 관절 질환이라는 인식이 있지...
한국인의 기대 수명은 이제 100세 시대를 이어 120세를 바라보고 있다. 1960년 52.4세에 불과했던 기대 수명이 82.4세로 증가했다. 사실 평군 수명보다 '건강수명'이 중요하다.건강수명은 단순히 얼마나 오래 살았느냐가 아니라 실제로 활동하며 건강하게 산 기간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평균수명에서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활동하지 못한 기간을 제외한 기간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한국인 건강수명은 2016년 기준 64.9세로 17.5년은 활동에 제약을 받으며 산다. 삶의 후반기에 관절 문제로 인하여 보행을 비롯한 일상생활에 제한이 생긴다는 이야기다.인간의 자율성의 기본 토대가 되는 직립보행은 타인의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