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홍역 환자 52명…해외유입 비중 70% 육박
질병관리청, 국민·의료진 대상 ‘홍역 주의보’ 발령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5월 3일 기준 국내 홍역 환자는 총 52명으로, 이 중 69.2%에 해당하는 36명이 해외에서 감염된 뒤 입국한 사례였다. 베트남에서 감염된 사례가 33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도 우즈베키스탄, 태국, 이탈리아에서 각각 1명씩 확인됐다. 해외유입 환자를 통해 가정이나 의료기관에서 16명의 2차 감염도 발생했다.
전체 환자 중 73.1%가 19세 이상 성인이며, 61.5%는 홍역 백신 접종력이 없거나 불분명한 것으로 파악됐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최근 아메리카, 유럽, 중동,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서태평양 등 전 세계적으로 홍역이 유행 중이다. 특히 서태평양 지역의 경우 2025년 현재 필리핀(766명), 중국(577명), 캄보디아(544명), 베트남(151명) 등에서 다수의 환자가 보고됐다.
질병관리청은 동남아 등 홍역 유행국 방문 후 발열·발진 등 증상이 발생할 경우 타인과 접촉을 최소화하고, 12개월 미만 영아나 임산부, 면역저하자와 같은 고위험군과는 즉시 접촉을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의료진에게는 환자 진료 시 3주 이내 해외여행력이 있는 경우 홍역을 의심하고, 의심환자는 의료진·환자 모두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신속히 분리 진료하도록 지침을 전했다.
아울러, 모든 의료기관은 소아청소년과 진료 시 의료진과 직원의 MMR(홍역·볼거리·풍진) 백신 접종력을 확인하고, 필요 시 접종을 완료할 것을 권고했다.
홍역은 공기 중 전파가 가능한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성 호흡기 감염병으로, 면역력이 없는 사람이 환자와 접촉할 경우 90% 이상 감염될 수 있다. 주된 증상은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 발진이며, 12개월 미만 영아는 폐렴, 중이염, 뇌염 등 중증 합병증 위험이 높아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홍역은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질환으로, 생후 12~15개월과 4~6세에 총 2회 접종이 권장된다. 다만, 홍역 유행국을 방문할 계획이 있는 생후 6~11개월 영아의 경우 출국 전 조기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국민 여러분께서는 해외여행 후 3주간 자신의 건강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해주시고,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해외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아 달라”라며 “의료기관에서도 신속한 신고와 감염 예방 조치로 지역사회 전파 차단에 적극 협조해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