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에 따른 건강수명의 격차가 최대 8.67년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최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윤석준 교수팀은 2008년부터 2020년까지 건강보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대한의학회 학회지를 통해 발표했다. 소득, 성별, 지역별 건강수명의 차이를 다뤘다. 연구팀은 기대수명에서 질병이나 장애로 생활이 제한되는 기간을 제외한 '건강수명'을 기준으로 분석했다.

위 사진은 본문과 관계없음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위 사진은 본문과 관계없음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의 건강수명은 2008년 68.89세에서 2020년 71.82세로 약 2.93년 증가했다. 그러나 소득 수준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났다. 소득이 가장 높은 상위 20%는 건강수명이 74.88세였던 반면, 하위 20%는 66.22세에 불과했다. 두 그룹 간 차이는 8.67년에 이르렀다. 특히 최하위 소득층의 건강수명이 다른 계층보다 현저히 낮은 점이 격차를 키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성별로는 여성이 평균 73.98세로 남성의 69.43세보다 약 4.55년 더 길었다. 하지만 소득에 따른 건강수명 격차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컸다. 남성의 경우 소득 상위와 하위 계층 간 차이가 9.99년에 달했지만, 여성은 6.58년이었다. 이는 남성이 사회경제적 환경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 때문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도 건강수명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서울과 경기 등 대도시 지역은 건강수명이 높았지만, 농촌 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의료 서비스 접근성과 환경적 요인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연구팀은 지역 간 격차가 해소되지 않으면 건강 불평등이 지속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2020년 한국의 지역별 건강수명(HALE, Health-Adjusted Life Expectancy). (A)건강수명이 높은 지역(파란색)이 수도권과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고, 건강수명이 낮은 지역(붉은색)은 농촌 지역과 일부 도서 지역에 많다는 점을 의미한다. (B)전국적으로 수도권과 대도시를 제외한 지역 대부분이 평균 건강수명 이하에 해당함을 의미한다. (윤석준 외, 'Trends in Healthy Life Expectancy (HALE) and Disparities by Income and Reg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24,)
2020년 한국의 지역별 건강수명(HALE, Health-Adjusted Life Expectancy). (A)건강수명이 높은 지역(파란색)이 수도권과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고, 건강수명이 낮은 지역(붉은색)은 농촌 지역과 일부 도서 지역에 많다는 점을 의미한다. (B)전국적으로 수도권과 대도시를 제외한 지역 대부분이 평균 건강수명 이하에 해당함을 의미한다. (윤석준 외, 'Trends in Healthy Life Expectancy (HALE) and Disparities by Income and Reg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24,)

또한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간 차이도 주목할 만하다. 기대수명은 2008년 80.83세에서 2020년 84.55세로 증가했지만, 건강수명과의 격차는 같은 기간 11.94년에서 12.73년으로 더 벌어졌다. 이는 많은 사람이 더 오래 살지만 건강하지 못한 상태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저소득층의 건강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예방 중심의 건강관리 프로그램 도입과 공공의료 확대 등이 대표적인 방안으로 거론됐다. 특히 고위험군을 우선적으로 지원하는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윤석준 교수는 "소득에 따른 건강수명의 격차는 단순히 개인의 생활방식 문제를 넘어 사회적 구조적 불평등을 반영하는 지표"라며 "저소득층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예방 중심의 건강증진 전략과 공공 보건 서비스 접근성 확대가 건강 불평등 해소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 출처: 윤석준 외, 'Trends in Healthy Life Expectancy (HALE) and Disparities by Income and Reg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24, https://doi.org/10.3346/jkms.2024.39.e46.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