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행사는 제약·바이오 산업에서의 특허 전략의 중요성과 회사의 주요 개발 과제 관련 특허 현황에 대한 임직원 인지도 제고 교육과 더불어, 유기적인 혁신 신약 연구·개발을 위한 사내 직무발명 보상제도 설명회 및 특허 전략을 고려한 신약 개발 의지를 다지는 기념 행사로 구성됐으며, 지적재산권 관련 담당자인 김병규 IP(지적재산) 담당 디렉터와 전략 총괄 임종진 부사장이 발표를 이끌었다.
첫 순서로 제약·바이오 산업 특허의 특수성 및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의 주요 특허 전략에 대해 발표를 진행한 김병규 IP 디렉터는 “제약·바이오 산업에서의 특허는 긴 개발 기간 대비 (특허) 권리를 독점할 수 있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특수성이 있다”며 “당사에서 효율적인 개발을 주요 가치로 강조하고 있듯이, 환자의 안전을 기하면서도 지체 없는 신약 개발 과정을 거쳐 독점 기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하며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전략, 연구, 사업 개발, 임상 개발 및 특허 담당 부서간의 전방위적이고도 유기적인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어 임종진 전략 총괄 부사장은 당사의 주요 개발 후보물질이 전세계적 미충족 의료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계열 내 최초, 혹은 계열 내 최고 의약품을 지향하고 있듯, 특허 전략 역시 글로벌 블록버스터 약물로서의 개발을 염두에 두고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음을 전했다.
행사 말미에는 발명의 날 사내 행사에 참석한 임직원들이 세계 지도에 전구를 밝히는 세리머니를 통해 특허 전략을 더욱 강화해 나가고 있는 당사의 신약 개발 의지를 되새겼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이정규 대표이사는 “제약·바이오 산업에서의 기술이전(라이선스아웃)을 포함한 사업 개발은 결국 해당 과제에 대한 특허 실시권과 재무적인 보상의 거래이기 때문에, 효율적인 특허 전략에 기반한 사업 수행이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앞으로도 주요 연구·개발 파이프라인과 관련된 특허 전략을 더욱 공고히 하여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