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본병원파주운정점장용석원장
인본병원파주운정점장용석원장
많은 관절염 환자들은 무더운 여름 날씨와 장기간 비가 쏟아지는 장마철을 싫어하고 두려워한다. 그 이유는 비가 내릴 때 발생하는 저기압 상태가 관절의 압력을 높여 팽창하고 신경세포를 붓게 만들어 더욱 심한 통증을 호소하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퇴행성관절염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고온다습한 날씨에 증상이 심해지지 않도록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관절염 질환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의 뼈와 인대가 손상되어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에 의해 자주 발병한다. 하지만 교통사고, 추락 등의 외상이나 타 골관절염의 후유증, 비만, 잘못된 생활습관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어 최근 젊은 세대에서의 발병률도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병변 부위에 강한 통증을 호소하며 일상생활 중 사용 빈도가 잦은 손관절과 신체 하중을 견디는 무릎관절, 척추관절에 통증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하루 일과를 마친 뒤 저녁에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고, 관절을 움직일 때 뼈가 부딪히는 소리와 병변에 딱딱한 것이 만져질 수 있다. 증상이 심해지면 뼈의 모양이 변형되거나 관절을 사용하지 못한다.

환자에게 나타난 증상과 발생 부위, 나이 등을 바탕으로 의료진의 검진 후 X-Ray 촬영을 통해 뼈의 변형된 모습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병변을 보다 자세히 확인하거나 함께 동반된 다른 조직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할 때는 MRI 검사, 혈액검사 등 추가 검사를 시행해 확진을 내린다. 이후 환자 개인의 특성과 증상에 따라 치료법을 적용한다.

퇴행성관절염의 치료는 통증을 완화하고, 관절의 기능을 유지시켜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만드는데 목적을 둔다. 주로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눠 시행하며 증상이 약하거나 초기에 발견했다면 생활습관 개선, 약물 치료, 운동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먼저 받는다. 하지만 보존적 치료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관절경 수술, 절골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퇴행성관절염은 주변에서 가장 흔히 보이는 질환으로, 증상이 발생했음에도 가볍게 여겨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해두는 경우가 있다. 증상이 심해지면 운동 범위가 줄어들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초기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으며, 한 번 손상된 관절은 완치할 수 없기 때문에 꾸준한 재활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다.

(글 : 인본병원 장용석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