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건조해진 날씨에 입마름 증상 주의해야... 구취 발생, 작열감 느껴지면 치료 필요할 수도

특히 요즘과 같은 환절기에는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면 구강 내 세균이 더 번식하기 쉽고, 또 가을철 건조한 공기에 구강건조증도 생길 수 있다. 일시적인 입마름 증상이라면 이런 경우에는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고 습도 조절을 잘 해주면 도움이 된다.
하지만 치료가 필요한 심한 구강건조증이 생기면 입속이 말라 입 냄새가 심해지고, 침 분비가 감소되어 작열감을 느낄 수 있다. 고령일수록 구강건조증의 발생 위험이 높은데, 나이가 들면서 타액선이 위축되어 타액의 분비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구강건조증이 심하면, 음식을 씹어 삼키기 힘들고, 말을 하기도 어려워진다. 침의 분비가 적어 소화 장애도 생길 수 있고 맵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먹을 경우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구강건조증으로 침 속의 면역 물질이 줄어들면 구강 내 세균들이 많아지면서 구내염이 생길 수 있고, 구취가 심해지기도 한다. 특히, 타액은 끊임없이 세정작용을 하여 플라그의 자연적인 제거를 도와주는데, 구강건조증이 생겨 타액의 분비가 줄어들면 플라그의 자연적인 제거가 잘 안되고, 구강 내 상주하는 균의 균형이 깨지면서 충치가 생기기 쉽다.
만약, 가을철인 요즘 구취가 발생하거나, 저작 기능이 떨어진다거나, 음식을 먹기가 어렵다면 구강건조증을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 약물 치료를 병행해야할 수도 있다.
구강건조증이 있다면 우선적으로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보고, 침 분비가 잘 일어날 수 있도록 신 음식 등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만약 이렇게 하였음에도 불편함이 계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진료를 보는 것이 좋다. 타액 보조제를 처방받거나 치과 진료를 병행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
온종합병원치과서정석과장(구강악안면외과전문의)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