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매학회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의원과 공동으로 지난 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치매 100만명 시대, 초고령사회 한국은 준비됐는가?’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토론회는 초고령사회 진입 원년을 맞아 치매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경도인지장애 및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조기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자리가 됐다.

주제 발표에는 이찬녕 고려대안암병원 교수와 최호진 한양대구리병원 교수가 참여해 각각 지역사회 중심 치매 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과 기술 기반 치매 관리 혁신 방향을 제시했다. 이 교수는 “경도인지장애는 가장 효과적인 의료 개입 시점이며, 이 시기를 놓치면 치매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치매 관리 정책을 단순한 재정 지출이 아닌 사회적 투자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패널토론에는 정부·학계·시민사회·언론 관계자들이 참여해 치매 정책 고도화와 제5차 치매관리 종합계획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했다. 보건복지부 노인건강과 최승현 과장은 “제5차 치매관리 종합계획 수립 과정에서 4차 계획의 성과를 평가하고 미비점을 보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한치매학회, 보건복지위 서영석 의원과 공동주최한 정책 토론회 전체 사진 (대한치매학회 제공)
대한치매학회, 보건복지위 서영석 의원과 공동주최한 정책 토론회 전체 사진 (대한치매학회 제공)
최성혜 이사장은 “알츠하이머병 표적치료제가 출시되면서 초기 단계 의료개입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며 “조기 진단과 치료는 환자 가족의 부담을 줄이고 사회적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영석 의원은 “초고령사회에서 치매는 개인을 넘어 가족과 공동체의 문제로, 예방과 치료 중심의 정책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며 “국회 차원의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토론회는 제5차 치매관리 종합계획 수립을 앞두고 치매 정책 전반을 점검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계기로 평가받고 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