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알레르기 비염 환자 수는 1월과 2월 각각 90만명대를 기록했는데 3월 들어 127만명으로 급격히 증가했고 4월은 146만명으로 환자 수는 3월보다 더 늘었다. 특히 0-9세 아동 환자가 전체 23%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류찬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이비인후과 전문의는 “알레르기 비염은 꽃가루 등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항원)에 코 점막이 과민 반응해 나타나는 질환으로 코감기 증상과 유사해 방치하면 축농증, 중이염 등으로 발전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알레르기 비염은 발작적 재채기와 맑은 콧물, 코막힘, 가려움증이 주 증상이며 이외에 눈이나 코 가려움, 눈 충혈, 두통, 후각 감퇴 등 증상이 동반된다. 반면 코감기는 인후통, 몸살, 발열 등 전신 증상이 일반적이다. 단순 감기로 오인해 감기약만 복용하거나, 방치하면 합병증 또는 증상이 악화할 수 있어 전문 진료를 받아야 한다. 2주 이상 콧물이 나오거나 봄철 같은 특정 계절 환경에서 증상이 나타나고 심해진다면 알레르기 비염을 의심해야 한다.
알레르기 비염 환자 중 30% 는 천식을 동반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유아는 성장하면서 비염, 천식, 아토피 피부염 등 알레르기 질환이 순차적으로 발생하거나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알레르기 행진 양상을 보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주변 환경 관리도 중요하다. 알레르기 원인이 되는 집먼지진드기를 없애기 위해 청소, 세탁이 필요하다. 또한, 카펫, 담요 사용은 삼가야 하고 꽃가루가 날리고, 미세먼지가 심한 날은 외출을 피해야 한다. 건조한 환경은 증상 악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실내 온도 20~22도, 습도는 50~60%로 유지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