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반다리가 힘들고 다리 회전이 불편하다면, 고관절염 초기 의심

중년 여성 A씨는 최근 바지를 입거나 양반다리를 할 때마다 사타구니 안쪽이 찌릿하게 아팠다. 시간이 지날수록 다리를 돌리는 동작이나 보행이 불편해졌고, 결국 병원을 찾은 끝에 ‘퇴행성 고관절염’ 진단을 받았다.

고관절은 골반과 대퇴골을 연결하는 관절로, 다리의 기둥 역할을 하며 걷기·앉기·일어나기 등 거의 모든 움직임에 관여한다. 이 관절은 체중의 2~3배에 달하는 하중을 견디기 때문에, 노화와 함께 연골이 마모되며 염증과 통증이 생기기 쉬운 부위다. 결국 관절의 운동성이 떨어지고 통증이 반복되는 퇴행성 고관절염으로 이어진다.

사타구니 통증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퇴행성 고관절염을 의심하고 정확한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사타구니 통증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퇴행성 고관절염을 의심하고 정확한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고관절염은 무릎관절염에 비해 대중적 인지도는 낮지만, 실제로는 중장년층에서 무릎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질환이다. 특히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사타구니 깊은 부위의 통증과 다리 회전 시의 불편감이 주요 증상이다. 병이 진행되면 절뚝거림, 보행 장애 등 일상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문제는 이 통증이 허리 질환과 유사해 환자 스스로 혼동하기 쉽다는 점이다. 허리 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도 엉덩이부터 다리까지 이어지는 방사통을 유발할 수 있어 감별이 쉽지 않다.

허동범 연세스타병원 병원장은 “고관절에서 유발되는 통증은 특정 동작에서 반복되는 국소 통증이 특징인 반면, 허리질환은 자세에 따라 통증이 변화하고 저림이나 감각 저하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며 “두 질환은 치료법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감별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퇴행성 고관절염은 조기에 발견해 치료를 시작하면 통증은 물론, 보행 장애까지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비수술 치료로는 소염진통제를 이용한 약물치료, 히알루론산 주사나 체외충격파를 통한 연골 보호 및 통증 조절이 있다. 여기에 걷기 운동, 스트레칭을 통한 근력 강화, 체중 감량 등 생활 습관 개선을 병행하면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고관절염은 완치보다는 ‘진행 억제’와 ‘기능 유지’가 치료의 핵심이다. 따라서 평소 양반다리, 쪼그려 앉기 등 관절에 무리가 가는 자세는 피하고, 엉덩이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체중이 관절에 미치는 부담이 큰 만큼, 체중 관리는 예방과 관리 모두에 중요하다.

허동범 연세스타병원 병원장
허동범 연세스타병원 병원장
허동범 병원장은 “평소 허리질환이 있는 경우, 고관절 통증을 연관 통증으로 여기고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사타구니 통증이나 다리 회전 시 불편함, 보행 시 절뚝거림 등의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통증 부위와 양상을 꼼꼼히 살펴 의료진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