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고사이언스㈜(대표이사 전세화)는 자사가 개발 중인 세포치료제 ‘TPX-115’의 비임상 논문이 ‘북미관절경학회(ANNA)’ 및 ‘세계관절경학회(ISAKOS)’의 공식 학술지인 ‘Arthroscopy’에 게재됐다고 3일 밝혔다.이번 논문에서 연구를 주도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오주한 교수팀은 토끼모델을 이용해 TPX-115가 ‘자가혈치료법(PRP)’에 비해 우수한 효능을 보인다고 보고했다. TPX-115는 회전근개부분파열을 적응증으로 오주한 교수가 임상2상을 진행 중인 동종유래 섬유아세포치료제이다.테고사이언스 관계자는 “TPX-115가 회전근개부분파열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PRP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제임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향후 시...
㈜진매트릭스(대표이사 김수옥)가 자사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M-ChimAd-CV’ 비임상 연구가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신약개발사업단의 비임상 지원사업 과제로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코로나19 치료제백〮신 신약개발사업단은 보건복지부가 설립한 국가신약개발재단의 산하기관이다. 코로나19를 대비한 대응 역량 강화 및 사회경제적 피해 극복의 원동력 확보를 위해 설립됐으며, 다양한 백신 기술 플랫폼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이번 정부과제 선정으로, 진매트릭스는 변이바이러스에 광범위한 효능을 확인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M-ChimAd-CV’의 독성과 안전성, 임상 용량 범위를 체계적으로 평가할 계획이다. 회사의 후보물질은 기...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오는 1월 10일부터 13일(현지시간)까지 나흘간 진행되는 제40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에 6년 연속 공식 초청을 받아 참가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회사는 이번 행사에서 에이비엘바이오는 화상회의를 통해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과 자사의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Grabody)’와 이를 이용한 파이프라인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혈액뇌관문(Blood Brain Barrier, BBB) 투과율을 높인 ‘그랩바디-B(Grabody-B)’에 대한 미팅 요청이 쇄도하고 있어 관련 논의가 중점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에이비엘바이오 관계자는 “에이비엘바이오는 다양...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사장: 라나 아즈파 자파)은 3일 노디트로핀® 노디플렉스®주를 처방받은 환자와 부모에게 올바른 사용 정보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성장 관리를 돕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NORITER’를 전격 출시했다고 밝혔다.노보 노디스크 ‘NORITER’ 어플리케이션은 노디트로핀® 노디플렉스®주 이해를 위한 정보부터 투여 방법 및 투여 관리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노디트로핀® 노디플렉스®주의 ’올바른 사용 정보’와 ▲’달력으로 한 눈에 정리하는 투여 기록’을 제공해 노디트로핀® 노디플렉스®주 투여 상태를 종합적으로 관리 가능하며, ▲아이의 성장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신장, 체...
박스터(대표 현동욱)는 3일 신장 질환 관련 의료진 전용 통합 포털사이트 ‘레날 케어(이하 Renal Care)’를 오픈했다고 밝혔다.이번 Renal Care 사이트 오픈을 통해 국내 의료진은 기존 박스터 신장 사업부에서 개별적으로 제공해온 자료와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볼 수 있게 됐다. 간편한 회원가입 절차를 통해 보건의료 전문가 정보를 입력하고 계정을 만들면 언제, 어디서든지 편하게 접속 가능하다는 회사측의 설명이다.Renal Care 사이트는 박스터 신장 사업부의 다양한 질환 별 임상 가이드 및 최신 지견, 모든 제품 정보와 환자교육 콘텐츠 등이 담긴 ▲리소스 라이브러리(RESOURCE Library)와 다양한 온라인 심포지엄 실시간 참여와 다시...
서지넥스(대표 김세준)는 고려대학교 정아람 교수 연구팀과 마이크로플루이딕 (microfluidic)기반 약물전달기기 개발을 위한 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서지넥스와 고려대 정아람 교수 연구팀은 고효율의 약물전달(drug delivery)을 위해 마이크로플루이딕 기반 약물봉입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서지넥스는 AI(인공지능)로 최적화시킨 나노입자를 활용한 약물전달체계를 구축하는 회사로 나노입자 즉, 엑소좀 (exosome), 리포좀 (liposome) 및 지질나노입자 (lipid nanoparticle)등을 이용해 화학약물, 단백질, siRNA, 및 mRNA등을 전달하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서지넥스는 이를 위해 오디세우스플랫폼을 ...
티앤알바이오팹(대표이사 윤원수)이 경북대학교병원 및 칠곡경북대학교병원과의 계약을 통해 2020년 4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수행한 ‘정상인 50명에 대한 임상정보 수집 및 인체유래물로부터 세포 자원(피부, 혈액, 지방조직) 확보와 기증자 적합성 평가’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독자적인 상용화 세포 은행을 구축했다.경북대학교병원과 칠곡경북대학교병원에서 제공한 40세 미만 성인 50명의 인체유래물은 미국 FDA 기준에 적합한 기증자의 사회/의학적 이력 및 제3자 분양에 대한 동의서를 확보하고 있어, 인체유래물로부터 확보한 다양한 세포 자원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도 판매가 가능한 제품 개발이 가능하다.이에 따라, 최근 티앤알...
에스씨엠생명과학(SCM생명과학, 대표이사 송순욱)이 자사가 개발한 급성췌장염 줄기세포치료제의 임상2a상을 위한 임상환자(시험대상자) 모집을 지난 12월 30일 모두 완료했다고 밝혔다.해당 임상시험은 중등증 이상의 급성췌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줄기세포치료제(SCM-AGH)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줄기세포치료제 시험군 18명과 위약 대조군 18명 총 36명을 대상으로 임상이 진행된다.회사는 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소화기내과를 비롯해 총 9개 대학병원을 통해 장기부전을 동반하거나 전단화단층촬영 중증도지수(CTSI)가 4 이상인 중등증 이상 급성췌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환자 모집을 시작했으며, 시작 21개월만에 총 모...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에 자제 제조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의 임상 데이터를 제출하고 생물의약품허가신청(BLA)을 했다고 31일 밝혔다.대웅제약은 지난 7월 NMPA 가이드라인에 따라 중국 현지에서 나보타의 임상 3상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바 있다. 중등증에서 중증 사이의 미간주름을 가진 환자 473명을 대상으로 동일 용량의 나보타 혹은 대조약(보톡스, Botox)을 한 차례 투여하고 16주에 걸쳐 효과를 비교한 결과, 주평가변수로 설정한 ‘투여 후 4주째에 미간주름 개선 정도’에서 나보타 투여군은 92.2%, 대조군은 86.8%의 개선도를 보였다.박성수 대웅제약 부사장은 “아직 보툴리눔 톡신 경험률이 1%대에 ...
한올바이오파마의 글로벌 파트너사 이뮤노반트(Immunovant)가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HL161(물질명 바토클리맙) 중증근무력증에 대한 동의를 얻어 내년 상반기에 HL161 중증근무력증 임상 3상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30일(현지시각) 밝혔다.이번 임상은 바토클리맙의 피하주사 680mg과 340mg을 주 1회씩 12주간 투약하는 유도기(induction period)와 대체 투약용법(저용량의 치료효과 유지용법 및 고용량의 응급치료 용법)의 후속치료로 구성되어 있다. 주평가변수(primary endpoint)는 중증근무력증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 양성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도(MG-ADL)’로 설정된다. 바토클리맙은 중증근무력증에서 지난 미국 임상 2상과 중국 임...
㈜뉴로라이브(대표이사 이석찬)는 우울증 치료제인 ‘NR-0601’에 대한 임상 1상을 29일에 진입했다고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NR-0601은,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작용제(NMDA receptor agonist)와 GSK 억제제(GSK inhibitor) 역할을 주로 한다. 또한 최소 9개의 표적을 장악하는 다중신약재창출(Multi-drug repositioning)로 제작된 고정용량복합제(Fixed dose combination drug)이다.뉴로라이브는 임상 1상과 동시에,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자주도임상시험(IIT: Investigator Initiated Trial)도 함께 진행한다. 안전성과 약동학을 기본으로 유효성도 동시에 조사하여 개발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이번 IIT를 주도하는 성균관의대 삼성서울...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은 펙수클루정 40mg이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을 적응증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출시허가를 받았다고 30일 밝혔다. 대웅 측은 즉시 펙수클루정의 약가를 신청하고 2022년 상반기 내 출시를 목표로 한다는 계획이다.펙수클루정은 대웅제약이 자체 개발한 P-CAB(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제제다.전승호 대웅제약 대표는 “대웅제약의 펙수클루가 위식도역류질환으로 고통받는 많은 환자들의 고충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다가올 새해에는 펙수클루정을 정식 출시해서 국내 제1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로 성장시키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겠다”고 밝혔다.제2형 당뇨병 치료제 신약인 이나보글리플로...
GC녹십자헬스케어(대표 안효조)가 새해부터 ‘GC케어’로 사명을 변경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을 선도하는 IT플랫폼 기업으로 새롭게 출발한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사명 변경과 함께 GC케어는 기존 B2B 중심의 사업 운영 체제를 B2C로 확장한다. 회사 측은 코로나19 장기화로 급변하는 소비자 니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디지털 플랫폼 시장을 주도하고자 이번 사명 변경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GC케어는 내년 초 건강검진 서비스와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프로그램이 결합된 ‘건강 포털’을 새롭게 선보이며 데이터 및 모바일 경험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좋은 가격 혜택으로 검진받고, 내 몸...
㈜지엔티파마(대표 곽병주)는 차세대 염증 및 통증질환 치료제로 개발 중인 '플루살라진'에 대한 우선권 특허를 30일 미국특허청에 출원했다고 밝혔다.이번 특허는 플루살라진이 '만성폐쇄성폐질환(COPD)'과 '천식' 모델에서 탁월한 약효가 검증됨에 따라 출원했다.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COPD는 허혈성 심장질환, 뇌졸중에 이어 2019년 전 세계 사망의 3번째 원인으로 약 323만 명이 사망했다. 같은 해 천식 환자는 약 2억 6200만 명으로 보고됐으며, 그중 약 46만 명이 사망했다.COPD와 천식은 난치성 질환으로, 폐 염증과 조직 손상을 막을 근본적인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COPD'는 담배...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지난 29일 오후 온라인으로 IR 기업설명회를 개최하여 2021년 주요 사업 성과 및 차세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 ‘BBT-176’ 임상 진행현황에 대해 발표했다.회사에 따르면 지난 해 미국과 한국에서의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이후, 올해 4월 임상 1/2상의 첫 단계인 용량상승시험의 환자 투약을 국내에서 먼저 개시한 BBT-176은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 등 3세대 표적치료제 이후 내성으로 나타나는 C797S 양성 삼중 돌연변이 타깃의 4세대 비소세포폐암 표적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올 12월 현재, BBT-176의 용량상승시험은 네 번째 용량군까지 투약되며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대상으로 안전성, 내약...
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이하 EGFR) T790M 돌연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인 렉라자®(영문제품명: LECLAZA®, 성분명: 레이저티닙 메실산염일수화물)의 임상 1/2상(NCT03046992) 시험의 최신 결과가 국제폐암연구협회(IASLC)의 공식 학회지인 ‘흉부종양 학회지(JTO, Journal of Thoracic Oncology)’ 온라인에 24일자로 게재됐다고 29일(수)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렉라자®는 EGFR T790M 저항성 변이에 높은 선택성을 갖는 경구형 3세대 EGFR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Tyrosine Kinase Inhibitor, 이하 TKI) 계열 약제이다. 특히, 뇌혈관장벽(Blood-Brain-Barrier, BBB...
바이오드론 플랫폼 기업 엠디뮨이 연말을 맞이해 글로벌 아동권리 전문 NGO 굿네이버스의 국내여아지원 캠페인 ‘소녀별’에 기부를 진행했다고 밝혔다.굿네이버스 소녀별 캠페인은 국내 저소득가정의 여아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캠페인이다. 생리대를 포함한 위생 키트 지원뿐 아니라 멘토링, 상담치료, 특별 프로그램 등 여아들의 심리·정서적 부분 또한 지원한다.엠디뮨은 핵심가치 중 하나인 나눔을 실천하기 위해 설립 초부터 기부와 봉사활동을 진행해왔다. 2018년부터 4년간 ‘엠디뮨 나눔실천펀드’를 운영해왔으며, 2020년 비영리법인으로 정식 전환했다. 엠디뮨 나눔실천펀드는 지금까지 월드비전 식수위생사업, RMHC 장...
엔지켐생명과학(대표이사 손기영)은 인도 ‘자이더스 카딜라(자이더스)’의 pDNA 백신 ‘ZyCoV-D(자이코브-디)’에 대한 본격적인 기술이전 절차에 착수했으며, pDNA 백신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백신 시장에 진출하겠다고 29일 밝혔다.엔지켐생명과학은 자이코브-디에 대한 ∆독점판매권을 확보한 동남아 및 남미 8개국의 개별국 등록허가 ∆WHO의 긴급사용등록(EUL)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의 긴급사용승인(EUA) 등 국내외 백신 공급을 위한 승인 절차를 추진 중이다.엔지켐생명과학은 독점판매권을 확보한 8개국을 대상으로 해당 국가의 대사관과 정부 외교 네트워크를 활용해 선구매 및 판매 협력을 추진 중이다. 또 WHO의 긴급사용...
JNPMEDI(제이앤피메디, 대표 정권호)가 2022년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분산형 임상시험(Decentralized Clinical Trial, DCT) 솔루션인 “Maven DCT Suite” 제품군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고 밝혔다.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해외에서는 비대면 방식의 분산형 임상시험이 하나의 트렌드로 급격하게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또한 IoT, 언택트,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임상시험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국내에서도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규제 당국이 임상시험 환경 변화에 따른 규제 선진화에 나서는 등, 분산형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지난 12월 21일...
앱클론(대표이사 이종서)이 신규 항체가 적용된 혁신 CAR-T 세포치료제 ‘AT101’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혈액암 환자 대상 국내 임상1/2상 IND(임상시험계획)를 승인 받았다고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앱클론의 ‘AT101’은 질환단백질 CD19을 표적하는 CAR-T 면역항암 세포치료제로, 특히 기존의 혈액암 타깃 글로벌 블록버스터 CAR-T 세포치료제들과 적용 부위(에피토프)가 전혀 다른 것이 특징이다.이번 승인된 임상은 1상과 2상으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약 100명의 임상환자를 대상으로 AT101의 안전성, 내약성, 유효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먼저 임상1상에서는 서울아산병원과 협력해 재발성 및 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Non-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