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 신규과제 선정 … 성공시 줄기세포 시장 대체 기대

유광호 교수는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유래한 엑소좀의 항노화 효과 및 기전 연구’란 주제의 연구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중배엽 줄기세포는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다른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분화능력을 가진 세포로서 항염증, 면역조절, 재생능력 등이 있어 의학 분야에서 치료를 위한 마스터키로써 각광받고 있다.
최근에는 줄기세포에서 분비물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중 하나인 세포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가 세포간의 신호전달을 통해 세포의 운명‧기능‧분화 등 다방면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외 소포체중 하나인 엑소좀 안에는 세포의 유전 물질 및 생체인자 단백질 등이 들어있으며, 줄기세포의 기능을 발휘하는 800여종의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현재 줄기세포 시장의 상당 부분 이상을 향후 이 엑소좀이 대체할 것으로 추정된다.
유광호 교수는 “실제 국내외에서 줄기세포를 윤곽 교정,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 등 다양한 항노화 치료에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서, 이번 연구를 통해서 피부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를 배양하여 엑소좀을 추출해 항노화 효과 및 치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며 “엑소좀이 줄기세포보다 우수한 기능적 효과가 확인이 되면, 추후 이를 바탕으로 항노화 화장품 분야에까지 광범위하게 응용(코스메슈티컬 제품)되어 이를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