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암센터 김학균 책임연구원 주도 연구팀이 위암에 빈발하는 융합유전자들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특히나 이 중 일부는 위암 표적치료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이목을 끌고 있다.
연구팀은 384명의 국내 미만형 위암 환자 검체를 분석했고 결과적으로 RhoGAP과 PAP2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유전자들이 미만형 위암에서 빈발함을 규명하였다. 이들 호발 융합유전자가 있는 위암 환자는 그렇지 않은 위암 환자와 비교했을 때 사망위험도가 3.5배나 높았다.
융합유전자는 암세포에서 일어나는 유전체 이상 중 하나로, 폐암 등 일부 암에서는 융합유전자가 몇몇 알려져 있어 표적치료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위암의 경우 잘 알려지지 않았다.
김학균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높은 수준으로 관리된 임상검체와 위암마우스모델을 이용해 시행되었으며, 위암의 진행 속도가 얼마나 빠른지, 또 어떤 위암환자가 표적치료제에 효과를 볼 수 있는지 선별하는 지표로서의 융합유전자의 존재와 역할을 포괄적으로 규명한 연구다”고 전했다.
이어서 “분자표적치료제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위암 환자가 비교적 적기 때문에 이 같은 대규모 협력연구를 통해 새로운 치료의 실마리를 찾는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국립암센터에서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해당 융합유전자가 존재하는 말기 위암 환자를 선별하고 적절한 표적치료제를 투여하는 임상시험을 시행할 예정으로, 현재는 심사 중에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한국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아주대병원, 서울아산병원, 계명대동산병원, 충남대병원, 전남대병원, 부산대병원) 및 동아대병원, 고신대병원과 협력해, 국립암센터 기관고유사업과 미래창조과학부(다중오믹스과제) 지원을 받았다.
하수지 기자
suji@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