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교 등 집단 급식소의 위생관리 당부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조사한 지난해 전국 식중독 월별 발생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전국에서 총 42건(증상자 985명)의 식중독이 발생했다.
이 수치는 식중독 발생이 가장 많은 9월(61건, 증상자 4천763명)과 10월(49건, 증상자 617명)에 이어 3번째로 높은 발생 건수다. 1월(18건)과 2월(17건)에 비해서는 2배를 웃도는 수치다.
경기도에서도 지난해 3월, 총 8건(증상자 239명)의 식중독이 발생해 전달인 2월 4건(증상자 37명)에 비해 2배 증가한 바 있다.
3월 식중독 발생의 주요 원인균으로 노로바이러스와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가 꼽힌다. 노로바이러스의 경우 오염된 손으로 만진 문고리를 통해서도 쉽게 감염될 수 있고, 퍼프린젠스 또한 제대로 익히지 않거나 상온에 방치하는 것만으로도 확산할 수 있어 개인위생 및 식품의 보관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개학을 맞아 급식을 시작하는 학교에서 식중독 발생 위험이 큰 만큼 급식시설과 조리기구 세척 및 소독, 식재료 유통기한 확인, 개인위생 수칙 준수 교육 등 예방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천혜민 기자
hyemin@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