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장학회(이사장 양철우, 가톨릭의대 성모병원)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21년 1월 8일까지 총 64개 혈액투석 기관에서 127명(투석 환자 107명, 의료진 15명, 기타 5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다. 특히 요양병원을 중심으로 한 COVID-19 집단감염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학회에서는 전국 투석병원에 코로나19 대응지침을 재차 공지하였으며, 그 중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투석을 받는 자가격리자(접촉자)는 해당 의료기관에서 코호트 격리투석을 하는 것이 원칙이며, 다른 투석 환자들과 분리하여 별도의 시간에 따로 투석을 해야 한다.
· 12월 이전까지 지침을 충실히 적용하여 진행했던 기관에서의 접촉자 코호트 격리투석 중 n차 감염 사례는 거의 없었다(40명 이상의 환자와 의료진이 자가격리되어 코호트 격리투석을 진행했던 경우에도 추가 확진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 COVID-19 치료병상이 제한된 상황에서는 증상이 없고 입원격리가 필요하지 않는 자가격리자는 기존에 투석을 받던 의료기관에서 격리투석을 담당해야한다.
· 현재 인공신장실 코로나19 대응지침을 준수하고 철저한 감염관리를 하는 것이COVID-19 확산을 막기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대한신장학회에서는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이번 COVID-19 유행 상황에 이르기까지 선도적으로 <인공신장실 코로나19 대응지침>을 개발하였고, 학회 회원들과 공유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또한 확진자가 발생하거나 COVID-19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회원과 학회 간의 연락을 통하여 환자 치료나 전원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학회 내 COVID-19 대응팀 이영기 투석이사(한림의대 강남성심병원)는 “학회에서는 인공신장실 관련 COVID-19 상황을 회원들과 공유하고, 인공신장실 코로나19 대응지침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등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히고 “인공신장실 대응지침을 충실히 준수했음에도 인공신장실 내 COVID-19 확진자가 계속 나온다면 코로나19 투석전담병원을 지정 운영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임혜정 기자
webmaster@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