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기준 국가 치매 관리비용은 20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되며, 중앙치매센터의 통계에 따르면, 이 규모는 2050년에 이르러 43조원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8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 공동의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이 출범한 것은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치매 예방 · 진단 · 치료 등에 걸친 종합적 연구개발을 지원하기 위함이 본 사업단의 목적이며, 2028년까지 9년간 총사업비 1,987억 원(국비 1,694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변선정 교수는 이번에 맡은 ‘치매 임상시험 등록지원센터’가 치매 치료, 예방 또는 진단·예측 기술 검증을 위한 임상시험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대상자의 진단 정보를 기록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밝히며, 향후 전국에 고루 기초한 임상 레지스트리(TRR)를 구축하는데 이바지하여 인프라의 부족으로 연구 참여가 어려웠던 연구기관들의 접근성을 증진시켜, 국내 치매 임상시험을 활성화함으로써 기존 수도권 지역에 편중되었던 한계를 극복하고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과 효율성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