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연구팀’, 일반인, 취약계층, 확진자 및 확진자 가족 대상으로 대규모 연구 시행

코로나19 위기 따른 정신건강 및 사회심리적 문제 분석, 예방·치료적 개입 전략 수립
이 연구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의 ‘감염병 의료기술 근거생성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됐다.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국민의 심리, 정신보건 측면의 영향력 분석 △공중보건 위기 상황 발생 시 필요한 정신보건적 지원 및 관리 시스템 방안 도출이 목표이다. 연구에는 경희대학교병원과 서울대학교병원을 비롯해 국립중앙의료원, 국가트라우마센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국군수도병원, 대구대학교, 서울대학교 등 10여 개 기관, 약 30명의 연구자가 참여한다. 참여자의 전공도 정신의학, 예방의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인류학 등 감염병 등으로 다양해 다각도의 분석이 가능할 전망이다.
지난해 9월에는 본격적 연구에 앞서 예비 작업을 수행해온 이 연구팀은 최근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예비 작업에서는 모집 경로, 조사 도구, 조사 플랫폼, 연구 데이터 베이스, 연구 참여용 웹사이트 개발 등을 진행했다. 올해 1월부터는 예비 조사를 시행하고 예비 결과 분석 및 발표를 앞두고 있다.
연구는 총 2개의 세부 연구로 나뉜다. 첫 번째 세부 연구는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일반 인구 및 특수 취약집단 정신건강 및 사회심리 영향평가’로 백종우 교수가 진행한다. 두 번째 세부 연구는 ‘코로나19 확진자와 가족의 정신건강 및 사회심리 영향평가’로 서울대 박혜윤 의과대학 교수가 담당한다. ‘일반인구집단’과 ‘코로나19 확진자 및 확진자 가족’ 집단 연구를 위해 맞춤형 설문 도구를 개발해 연구를 수행한다. 또한 취약집단과 확진자 대상으로는 심층 면접도 시행한다.
연구팀 홈페이지 통해 자세한 내용 확인 및 연구 참여 가능
한국인 일반인구집단을 대상으로는 최소 2회에 걸쳐 최대 2천 명 이상을 조사할 예정이다. 사회인구학적 조사, 임상의학적 조사, 정신건강 영향평가, 사회심리적 영향 지표, 사회생태학적 평가 등 삶의 다양한 영역을 포괄한다. 코로나19 확진자 및 확진자 가족을 대상으로는 사회인구학적 조사, 심리사회적 고통 및 지원 필요성, 정신건강 관련 영향 지표, 사회심리적 영향 지표 등 확진자 가족이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포괄하게 했다. 4월부터 시작되는 취약집단과 확진자 대상의 면접 연구에는 신체 및 정신장애인,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취약집단, 외국인 및 유학생, 교민, 군 복무 중인 국민 등이 포함된다.
연구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연구팀의 홈페이지(http://covidmentalhealth.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코로나19 확진자와 그들의 가족, 자가격리를 경험한 사람들은 웹사이트를 통해 연구에 직접 참여할 수도 있다. 특수 취약집단으로 코로나로 인한 고통을 겪은 일반인은 연구 참여 신청 후 선정 절차에 따라 참여 여부가 정해진다. 연구 참여자에게는 소정의 사례비를 지급하고 개인정보는 기관연구심의위원회 절차에 따라 보호한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