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강 내 장기 통증 담당 신경 차단‧파괴로 통증 막아 … “참기보다 의사에게 알리고 처치 받아야 항암효과도 높아”

암환자에게 통증이 생기는 이유는 다양하나. 암세포가 뼈나 신경 등 다른 장기를 침범했을 때 생기기도 하고 수술이나 방사선 요법, 항암화학요법 등의 치료를 받으면서 부작용으로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암으로 인한 합병증이나 기타 동반 질환에 의한 통증이 있는 경우도 많다.
암성 통증은 대부분 약물치료를 먼저 시도한다. 하지만 약물로도 쉽게 잡히지 않는 통증이라면 수술적 치료를 받기도 한다. 그리고 수술 전 ‘중재적 시술’을 통해 보다 빠르고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통증을 제거할 수 있다.
암환자 중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라면 통증 전문의와 상의해 중재적 시술을 받을 수 있다. 복강 내 장기의 통증을 담당하는 신경을 차단 또는 파괴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통증을 잡는 방식이다.
위, 간, 췌장, 부신, 소장, 대장암 등으로 인한 상복부통증에는 복강 신경차단술을 시행할 수 있다. 하복부와 골반 통증에는 상하복 신경차단술을, 직장암이나 항문 전이 등으로 인해 항문, 회음부 통증이 있는 경우 외톨이 신경차단술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또 체부나 흉벽 통증은 늑간 신경차단술 등으로 치료할 수 있다.
신경 차단/파괴술은 비교적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엎드린 자세로 해당 감각 신경이 밀집해 있는 부위에 알코올을 주사한다. 100% 알코올을 이용하여 반영구적인 진통 효과를 노리는 것이다. 시술은 엎드린 자세로 진행되며 알코올이 잘못된 경로로 흐르지 않도록 일정 시간만큼 엎드린 상태로 대기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안전을 위해 복강신경차단술과 상하복신경차단술은 4시간, 외톨이신경총차단술은 1시간가량의 대기 시간을 권장한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