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장학회 KSN2021에서 보고 … 65세 이상 당뇨병 동반 고령 환자의 사망률은 여전히 높아

2005,2010,2015년에혈액투석및복막투석치료를시작한환자의5년생존률
2005,2010,2015년에혈액투석및복막투석치료를시작한환자의5년생존률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는 대한신장학회 국제학술 대회 KSN2021에서 2001년부터 2020년까지 학회 말기신부전 등록사업에 포함된 135,017명의 혈액투석과 22,611명의 복막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20년간의 사망률의 변화와 사망원인을 조사한 결과 “국내 혈액 투석 및 복막 투석 치료를 받는 환자의 사망률이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혈액투석 환자의 사망률은 2005년 1000인년 당 116명, 2010년 87명, 2020년 19명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복막투석 환자의 사망률은 2005년 1000인년 당 135명, 2010년 86명, 2020년 33명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치료를 처음으로 시작한 후 5년간 생존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2005년 처음으로 혈액 투석 치료를 시작한 환자의 5년 생존율은 약 75%에서, 2015년 약 80%였다. 복막 투석 치료 환자의 생존율 또한 증가하여 2005년 63%에서 2015년 약 76%였다.

2020년 말기신부전 환자의 주요 사망원인 중 가장 흔한 질환은 심혈관질환으로 35%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감염 관련 질환 24 %였다. 전반적인 사망률은 전체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지만 65세 이상 고령 환자 특히 당뇨병이 동반된 경우 사망률이 높았다.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 김용균 등록이사는 “투석환자의 사망률이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한 요인은 투석 치료의 기술적 발전과 더불어 투석 전문의 확대에 따른 투석의 질 개선에 기인한다.”고 설명하였다.

박종하 등록이사는 “우리사회의 고령화와 당뇨환자 증가로 투석을 요하는 말기신부전 환자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들 환자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투석치료 환자 관리법’과 같은 국가적 정책이 필요하다.” 고 강조하였다.

한편, 대한신장학회는 1985년부터 인산 기념 말기신부전 환자 등록 사업 (Korean Renal dialysis system, KORDS)에 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 사업을 통하여 우리나라 말기 신부전 환자의 진료 가이드라인 개발과 정책개발을 위한 양질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하고 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