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전에 비해 발병률 15배 증가…60대 이후 발병 급증
별다른 예후 없어 조기진단과 건강검진이 중요해
전립선은 방광 아래 요도를 둘러싸고 있는 생식기관으로 남자에게만 있다. 위는 둥글고 밑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다가 맨 끝은 뭉툭하다. 정액을 생성해 정자의 운동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 전립선에 암이 생긴 것을 전립선암이라 하며, 전립선암은 보통 뼈로 전이되기 때문에 전이가 심한 경우 뼈의 통증을 느껴서 검사하다가 우연히 전립선암을 발견하기도 한다.
전립선암은 전립선의 주변부로부터 시작되는 악성종양으로 이 종양이 자라면서 전립선의 내부에까지 종양이 퍼질 수 있다. 다른 암들과 같이 전립선암도 역시 신체의 다른 장기까지 전이될 수 있고, 또한 초기의 전립선암은 별다른 증상을 일으키지 않으나 암이 진행함에 따라 요도를 압박하는 등 다른 문제를 일으킨다.

전립선암 고위험군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다. 전립선암 환자의 10% 이상에서 유전적 성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족력이 있으면 전립선암 발생 가능성이 증가해 아버지가 전립선암 환자일 경우 약 2배, 형제가 환자일 경우 약 3배 증가한다. 염증도 영향을 미친다. 대장암, 식도암, 위암, 간암 등 많은 암이 염증과 관련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부분은 남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성장하지만, 드물게 남성호르몬과 전혀 관계없이 발생하는 전립선암도 있는데 ‘신경내분비 전립선암’이라고 한다. 전체 전립선암의 1%로 매우 드물지만 일반적인 전립선암보다 성장 속도가 빠르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인다.
조직검사를 통해 전립선암을 진단받으면 MRI(자기공명영상) 검사, 뼈 스캔 검사 등을 통해 그 진행 정도를 파악한다. 다양한 검사 소견을 바탕으로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결정한다. 수술적 치료와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항암약물 치료, 국소 치료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지만, 전립선암 치료에는 완치를 목적으로 한 수술적 치료의 예후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성구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전립선암은 알려진 것처럼 순한 암은 아니며, 초기 증상이 없는 만큼 전립선 건강을 위해서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생활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증상이 없더라도 만 50세부터는 1년에 한 번, 전립선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만 40세부터 주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