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팀은 NHS 스코틀랜드의 14개 지역 중 하나인 NHS 로디언의 진료소에서 121명의 여성을 모집했다. 여성들의 평균 연령은 42.8세였고 평군 BMI는 26.9세였으며 39.7%가 초음파 검사 결과 섬유종이, 당뇨병을 진단 받은 환자는 1명이었다.
참가자들 25%가 비만으로 간주되었고 연구팀은 과도한 생리량을 헤모글로빈 수치와 자궁내막 두께 점수가 80ml 이상되는 것으로 정의했다.
그 결과 참가자의 63%가 생리량이 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 분석 결과에서는 헤모글로빈 수치와 자궁내막 두께 점수와 BMI사이에 약간의 연관성을 나타냈는데, 다중 회귀 분석에서 연구팀은 헤모글로빈 수치와 자궁내막 두께 점수를 예측할 때 BMI에 유의하게 추가된 섬유질을 확인했다. BMI는 섬유소의 양을 조정할 때 경계선을 유의하게 유지했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의 이질성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추후 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 모델을 설계했다. 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한 모의 실험에서 식이요법에 의한 비만으로 자궁 내막 회복이 지연되는 것을 발견했다.
이 외에도 저산소 조절 유전자를 평가할 때 비만이 있는 여성의 자궁 내막과 체중이 증가한 생쥐의 자궁 내막에서 VEGF, ADM, LDHA 및 SLC2A1의 평균값이 지속적으로 더 높음을 나타냈지만 연구팀은 이는 통계적 유의성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비록 이 연구에만 근거해 강력한 권장 사항을 만들기는 어렵지만 BMI가 높은 여성이 체중을 감량해야만 하는 이유가 될 수는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비만은 자궁 내막 회복 지연으로 인한 과도한 생리와 관련이 있다'는 주제로 내분비학 저널에 게재되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