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무릎 관절염은 관절 사이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서 뼈가 직접 맞닿아 통증과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노화, 비만, 외상, 과도한 운동 등이 주요 원인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이 심해지고 보행이 어려워지는 등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다.

초기에는 약물, 물리치료, 운동요법 등 비수술적 치료가 시행되지만, 증상이 지속되면 최근 주목받는 ‘자가지방유래 기질혈관분획(SVF) 주사치료’가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고용곤 연세사랑병원장은 “해당 치료법은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에서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았다”며 “특히 KL 분류 2~3기 무릎 관절염 환자에게 기능 개선 및 통증 완화 효과가 입증됐다”고 설명했다.

연세사랑병원, "퇴행성관절염, ‘자가지방유래 주사치료’로 통증 완화 기대" (연세사랑병원 제공)
연세사랑병원, "퇴행성관절염, ‘자가지방유래 주사치료’로 통증 완화 기대" (연세사랑병원 제공)
이 치료는 환자의 복부나 둔부에서 자가지방을 채취한 뒤, 분리된 기질혈관분획을 무릎 관절강에 직접 주사하는 방식이다. 미국 스포츠 의학 학술지(AJSM)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치료 12개월 후 WOMAC 지표상 고용량 투여군에서 최대 89.5%의 증상 개선 효과를 보였다.

SVF는 기존의 골수흡인농축물보다 중간엽 줄기세포 확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연골세포 증식을 유도하는 성장인자 분비에 기여해 치료 효과를 높인다.

시술은 지방 채취부터 세포 분리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하며, 숙련된 의료진에게 받는 것이 안전성과 효과를 높이는 핵심이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