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석 건국대병원 교수 “빠른 회복·흉터 최소화…환자 부담 줄여”

지난 2023년 한 해 동안 허리디스크(추간판탈출증)로 진료받은 환자가 약 97만 명에 달한 가운데, 내시경을 활용한 최소침습 수술이 치료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추간판탈출증은 척추 사이 디스크의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을 눌러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 감각 이상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주로 40~50대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드는 직장인, 장시간 운전·간병을 하는 젊은 층에게도 흔하다.

강민석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교수
강민석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교수
강민석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은 기존 개방 수술보다 절개 부위가 작고 통증도 적으며 회복이 빠르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 수술법은 0.8cm 크기의 절개 두 곳만으로 탈출된 디스크를 제거할 수 있어 고령자나 만성질환자에게도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다.

강 교수는 “수술 후 마약성 진통제 사용이 줄어들고 조기 보행과 빠른 퇴원이 가능해, 사회적 비용 절감 효과도 크다”며 “환자가 본인의 일상으로 빠르게 돌아가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초기엔 약물이나 물리치료로도 호전이 가능하지만, 6주 이상 통증이 지속되거나 감각 저하, 근력 약화 등 신경 증상이 나타날 경우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한편, 추간판탈출증 예방을 위해선 바른 자세 유지, 허리·복부 근력 운동, 적절한 체중 관리가 필수다. 앉은 자세를 자주 바꾸고, 무거운 물건은 무릎을 굽혀 드는 등 일상 속 습관 개선도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