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테카바이오(226330)는 미국 보스턴 소재 나스닥 상장 바이오텍 회사와 약 10억 원 규모의 유효물질 발굴 공급계약(SOW)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기존 단일계약 MSA(Master Service Agreement)의 후속 조치로 신테카바이오는 총 3개의 유효물질 발굴을 진행하며 첫 번째 표적을 이미 확보한 상태다.고객사는 약 3조 원의 시가총액을 자랑하는 TPD(Targeted Protein Degradation) 전문 기업으로, 질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신테카바이오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타깃 단백질에 결합하는 리간드(워헤드)를 발굴하는 역할을 맡아, 자체 AI 신약개발 플랫폼인 '딥매처(DeepMatcher)'를 활용
한국바이오협회는 12일 이슈브리핑을 통해 마이크 존슨 미국 하원의장이 11일(현지시간) 생물보안법안을 포함한 중국 관련 규제 법안을 연내 통과시키기 위해 새로운 입법 전략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같은 날 8950억 달러 규모의 2025년 국방수권법(NDAA)이 상·하원을 통과했으나, 해당 법안에 포함되지 못한 중국 제재 조항을 별도로 추진하려는 시도로 보인다.국방수권법에는 중국 기반 기업 투자 제한과 생물보안법안을 포함한 다수의 규제 법안이 포함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최종 협상 과정에서 배제되면서 별도의 입법 방안이 필요해졌다. 마이크 존슨 의장은 “국방수권법 협상에서 중국 경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조항에서 상
한국로슈는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제66회 미국혈액학회 연례학술대회(ASH 2024)에서 자사의 림프종 치료제 컬럼비(성분명 글로피타맙), 룬수미오(성분명 모수네투주맙), 폴라이비(성분명 폴라투주맙)와 관련된 최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발표는 고정 투약 기간 종료 후 치료 효과 유지와 5년 장기 추적 데이터를 중심으로 진행됐다.컬럼비는 재발성 또는 불응성(DLBCL) 환자를 대상으로 한 3년 추적 연구에서 완전 관해율(CR) 40%를 달성했다. 대부분의 환자가 투약 종료 후에도 2년 이상 관해를 유지했으며, 안전성 프로파일도 기존 데이터와 일치했다. 룬수미오는 소포성 림프종(R/R FL) 환자 대상
동성제약(002210)은 혈당 상승 방지 기능성을 인정받은 특허 쌀 ‘당박사 쌀’을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해당 제품은 크롬 효모를 함유한 무농약 프리미엄 쌀로, 약국 유통망과 건강 멘토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된다.‘당박사 쌀’은 프리미엄 특등미 삼광쌀에 △여주 열매 △호로파 △고교맥 △모링가 등 천연 식물 4종을 함유한 혼합 쌀로,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준다. 크롬 효모는 포도당 이동을 도와 인슐린 작용을 강화하며,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중성지방을 감소시켜 심혈관 건강에도 기여한다. 동성제약은 제품에 대해 "일반 쌀에 비해 혈당 급상승을 걱정하지 않고 섭취할 수 있는 백미 대체재"라고 설명했다.동성제약에
HLB(028300)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생산성본부가 주관하는 2024년 지속가능경영유공 종합ESG부문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지속가능경영유공 시상은 2006년 지속가능경영대상을 시작으로 2007년 정부포상으로 승격된 이래 올해로 19회차를 맞이하고 있다. 올해 종합ESG부문에는 총 21개사가 수상기업으로 선정됐으며, 엄격한 심사기준으로 2013년 이래 가장 적은 규모의 기업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HLB는 ▲저탄소경영에 기반한 재생에너지 사용확대 ▲안전보건·반부패경영 시스템 도입 ▲사회적 가치측정(SV)과 인권 리스크 관리를 위한 체계 구축 ▲설치의무가 없는 감사위원회를 비롯한 이사회 산하 위원회
종근당건강은 한국소비자평가위원회가 조사한 ‘소비자가 선택한 2024 최고의 브랜드’에서 모발 건강기능식품 ‘헤어솔루션 케라넷’이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헤어솔루션 케라넷’은 건강기능식품 전문 기업 종근당건강에서 출시한 모발 건강기능식품이다. 헤어솔루션 케라넷은 주요 성분이 식약처에서 모발 건강 기능성을 인정한 식물성 개별인정형 원료 기장밀추출복합물 케라넷(Keranat™, 이하 케라넷™)으로 출시부터 화제가 됐다는 회사측의 설명이다.회사에 따르면 케라넷™은 100% 프랑스산 식물성 원료로 기장과 밀의 핵심 성분만 저온 추출, 농축한 고급 기능성 원료다. 임상시험을 통해 식약처 모발건강 기능성 평가 가이드라인
㈜마인즈에이아이가 개발한 디지털 치료기기 ‘치유포레스트N’이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됐다고 밝혔다.㈜마인즈에이아이는 우울증, 트라우마 분야 국내 전문가로 꼽히는 석정호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설립한 교원 창업 기업이다. 가상현실 기반 디지털 치료기기 ‘치유포레스트N’을 비롯해, 정신건강 분석평가 프로그램 ‘마인즈내비’, 심리상담센터 ‘치유’ 등 정신건강을 위한 원스톱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된 ‘치유포레스트N’은 우울증과 자살 등 주요 정신건강 문제의 개선과 치료를 위해 개발된 가상현실(VR) 기반 치료 프로그램이다. 정신건강의학과에 대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보건복지부 주관 '2024 건강친화기업 인증'에서 건강친화기업 인증을 획득하고, '건강친화 경영 우수기업'으로 선정되어 한국건강증진개발원장상을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건강친화기업 인증제도는 '국민건강증진법'에 따라 건강친화적 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을 인증하는 제도로, 임직원 건강 증진을 위한 체계적이고 혁신적인 경영 방침을 갖춘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삼성바이오에피스는 걷기와 계단 이용을 장려하는 '걷고 오르고 나누고' 프로그램, 피트니스 활동을 독려하는 'EPIS 3종 경기' 캠페인 등을 통해 임직원들에게 자연스럽게 운동 습관을 정착시켰다. 선택적 근로시간제 활용으로 일과 중 운동을 실
PT. MEDI CITY INDONESIA가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하 중진공)이 지난 3일 개소한 '자카르타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의 입주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은 PT. MEDI CITY INDONESIA의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은 결과라는 회사측의 설명이다. 자카르타 GBC는 국내 중소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을 지원하고 현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무공간은 물론 법률·회계 등 전문 자문 서비스와 현지 시장 특화 프로그램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과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박성민 PT. MEDI CITY INDONESIA 대표는 "이번 입주 선정은 우리 기업의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항체 파트너사 넥스트큐어와 공동개발 중인 항암치료제 LNCB74(B7-H4 ADC, LCB41A)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12일 밝혔다.이번 임상시험은 리가켐바이오의 자회사 ACB와 협력해 넥스트큐어가 주도하며, 미국 내 다양한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임상1a상 용량증대시험을 시작으로 임상1b상 용량확대시험이 연이어 진행될 예정이다.LNCB74는 B7-H4 단백질을 표적하는 넥스트큐어의 항체와 리가켐바이오의 차세대 ADC 플랫폼 기술이 결합된 항암치료제다. B7-H4 단백질은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특징을 가지며, 주로 유방암,
한국머크 바이오파마는 LG화학(051910)과 자사의 제2형 당뇨병 치료제 '글루코파지 정(성분명 메트포르민염산염)'의 국내 판매를 위한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계약에 따라 LG화학은 2025년 1월 1일부터 글루코파지 정의 국내 유통을 담당하며, 품목허가권은 한국머크 바이오파마가 유지한다.글루코파지 정은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 장애로 인해 혈당이 상승하는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1957년 처음 임상 사용된 이래 60년 이상 활용됐다. 이 약물은 미국당뇨병학회(ADA), 유럽당뇨병학회(EASD), 미국임상내분비학회(AACE) 등 주요 당뇨병 치료 가이드라인에서 1차 치료제로 권고되고 있다.양사는 머크의 글로벌 품질 관리 역
GC녹십자(006280)는 러시아 연방 보건부(Ministry of Health of the Russian Federation)로부터 자사의 중증형 헌터증후군 치료제인 ‘헌터라제ICV(intracerebroventricular)’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11일 밝혔다. GC녹십자는 지난 2021년 일본에서 뇌실 내 투여방식의 중증형 헌터증후군 치료제인 헌터라제 ICV의 품목허가를 획득한 바 있다. ‘헌터라제 ICV’는 머리에 삽입한 디바이스를 이용해 약물을 뇌실에 직접 투여함으로써 중추신경 증상을 개선시킨 치료법이다. 직접 투여 방식을 통해 환자의 뇌혈관과 중추신경 세포까지 전달된 약물은 인지능력 상실, 심신 운동 발달 지연 등 중추신경손상에 기인한 증상까지 완화시켜 준다.전세계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전 세계 풍토병 문제 해결과 백신 접근성 강화를 위해 긴급 백신 개발이 필요한 17개 병원체의 우선순위를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WHO는 저소득·중간 소득 지역에서 심각한 공중 보건 부담과 높은 항생제 내성 문제를 초래하는 병원체들을 선정해 긴급백신 필요 우선순위 풍토병 병원체 목록을 작성했다. 했다. 특히, 사망률, 항생제 내성, 지역적 질병 영향을 기준으로 병원체를 분류해 R&D 우선순위를 정했다.목록에 포함된 병원체는 백신 개발 단계에 따라 ▲새로운 백신이 필요한 병원체 ▲추가 개발이 필요한 병원체 ▲규제 승인이 임박한 병원체로 구분했다.'새로운 백신이
인스코비 그룹 자회사이자 바이오 의료기기 전문기업인 셀루메드(049180)가 RNA 분야 연구를 강화하며 글로벌 RNA 치료제 시장 공략에 나섰다. 셀루메드는 비강에 mRNA 백신을 투여하는 'LNP 멜리틴' 제형 기술에 대한 국내 특허를 출원했다고 11일 밝혔다.특허는 독감 바이러스의 공통 항원을 타깃으로 한 멜리틴 성분 기반 mRNA 백신 개발에 관한 것이다. 셀루메드에 따르면 이 기술은 코에 바르거나 분무하는 방식으로 백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동물 실험에서는 시험 개체의 100% 생존율을 기록하며 개념 검증(Proof of Concept, POC)에 성공했다. 멜리틴은 벌독의 주요 성분으로 강력한 항염증과 진통 효과를 보이며, 백신이 점막층을 통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하 보산진)은 ‘필수의료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주제로 한 '보건산업정책연구 펄스펙티브(PERSPECTIVE)' 2024년 2호를 발간한다고 11일 밝혔다. 필수의료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하 디지털 전환)은 현재 의료시스템에서 중요한 두 축이다. 이 두 가지가 성공적으로 결합할 경우 전체 의료체계의 접근성, 효율성, 지속 가능성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호에서는 필수의료와 디지털 전환의 상호작용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디지털 기반 필수의료 혁신 성과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제안됐다.이지선 보산진 바이오헬스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디지털 전환이 단순히 기술을 도입하
AI 플랫폼을 활용한 적응증 확장 개발 기업 온코크로스(382150)는 지난 9일부터 이틀간 일반 투자자 대상으로 공모주 청약을 실시한 결과 131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에 따른 청약 증거금은 1조7048억 원으로 집계됐다.온코크로스는 지난달 27일부터 12월 3일까지 5거래일간 국내외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을 진행했다. 수요예측에는 총 1407개 기관이 참여했으며, 경쟁률 635대 1을 기록했다. 공모가는 시장 환경을 고려하여 7300원으로 확정했다.이어 12월 9일부터 10일까지 양일간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청약에서 일반 경쟁률은 1313대 1, 비례 경쟁률은 2626대 1을 기록했으며, 이에 따른 증거금은
휴온스(243070)가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새로운 사회공헌 활동을 시작했다. 휴온스는 지난 10일 충북 제천 제1공장에서 장애인 바리스타가 운영하는 사내 카페 ‘카페 휴’의 오픈 기념식을 가졌다고 11일 밝혔다. 카페는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돕고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실현하기 위해 설립됐다.‘카페 휴’ 프로젝트는 제천시 사회복지법인 ‘다하’와 협력한다. 휴온스는 지난 7월 협약을 통해 리모델링 비용을 포함한 설비 투자금 3000만 원을 후원했으며, 향후 카페의 임대료와 운영관리비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다하는 카페 운영을 전담하며, 수익은 장애인 바리스타의 급여와 수당으로 지급된다.카페에 근무하는 장애인 바리스
올해로 발매 40주년을 맞은 ‘펭귄파스’ ‘제일파프 40주년 캠페인’이 올해의 광고PR상 금상을 차지했다.제일헬스사이언스는 '제일파프'가 한국광고PR실학회가 주관한 2024 올해의 광고PR상 '기업CSR 브랜드' 부문에서 금상을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올해의 광고PR상’은 2008년부터 한국광고PR실학회가 매년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실시한 광고·홍보 캠페인 중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여준 사례를 발굴해 시상하는 제도다. 금상을 수상한 ‘제일파프 40주년 캠페인’은 출시 40주년을 기념해 새롭게 제작된 광고다. 과거 1990년대에 큰 호응을 얻었던 ‘제일파프’의 광고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구성한 이번 캠페인은 브랜드를 대표하는 펭귄 캐
㈜셀라메디칼은 지난 8일 서울에서 열린 제48차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에 참가해 혁신적인 기술을 집약한 BLESSING(블레싱)을 선보였다고 밝혔다.특히 이번 학회에서는 블레싱의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전문 강연이 진행돼 피부과 전문의 및 참관객들의 큰 주목을 받았다는 회사측의 설명이다. 조현진 맑고고운라벨라의원 원장과 이제혁 닥터봄클리닉 원장이 각각 ‘The Evolution of Wrinkle Treatment’와 ‘Precision Targeting in the Dermis’라는 주제로 블레싱의 임상적 응용 사례와 기술적 우수성을 공유하며, 학술적 교류의 장을 마련했다.아울러 학회장 내 마련된 이벤트홀에서는 블레싱의 차별화된 특장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
JW중외제약(001060)은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으로부터 소비자중심경영(Consumer Centered Management, CCM) 재인증을 획득했다고 10일 밝혔다. 2022년 CCM 신규 인증 이후 2년 만에 이뤄진 성과다. CCM 인증은 기업 활동 전반이 소비자 중심으로 이뤄졌는지를 평가하며, 한국소비자원이 주관하고 공정위가 인증하는 제도다. JW중외제약은 소비자를 의사결정의 핵심으로 삼고 고객의 목소리(VOC)를 경영 전반에 반영하며 소비자 만족도를 높인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JW중외제약은 2020년 VOC 응대 시스템을 구축해 제품 개선과 고객 만족을 위한 체계적인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VOC 운영팀은 제품개발, 품질관리, 마케팅 등 관련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