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경험적 항생제 치료와 코로나 환자 예후 관련성 발표... 입원·치료 기간 및 사망 위험 줄어들지 않아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최평균 교수팀이 2020년 1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산소 치료가 필요한 중등도·중증 코로나 환자 233명을 대상으로 경험적 항생제 치료가 임상 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지 분석한 연구결과를 16일 발표했다.
‘경험적 항생제 치료’는 세균 감염에 대한 미생물학적 확인 이전에 입원 후 48시간 이내에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원인균에 대한 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세균 감염 가능성을 평가해 선제적으로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다.
코로나 환자는 2차 세균 감염의 유병률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서울대병원에 전원된 많은 코로나 환자가 경험적 항생제를 투여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처방된 대부분의 항생제는 세균 감염의 진단 없이 투여됐고, 심지어 일부는 광범위 항생제였다.
적절한 항생제 사용은 치료를 돕지만 광범위 항생제 오남용은 다재내성균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경험적 항생제 치료가 산소 요법이 필요한 중등도·중증 코로나 환자의 예후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지금껏 평가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를 평가하기 위해 경험적 항생제 치료를 받았는지에 따라 경험적 항생제 미치료군과 치료군으로 나눈 후, 항생제 치료 이외의 임상적 요인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교정하기 위해 성향점수 매칭을 시행해 두 그룹 간 임상 결과의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격리 병동에서의 일수(13.8일 대 15.3일) ▲산소 치료를 받은 총 일수(9.3일 대 11.7일) ▲산소요구량 증가 환자 비율(22.6% 대 28.6%)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환자 비율(14.3% 대 9.5%) ▲격리 중 사망률(3.6% 대 4.8%)로 나타났다.
이는 경험적 항생제 치료가 중등도·중증 코로나 환자의 입원 기간이나 산소 요법 기간을 줄이지 못했을 뿐 아니라 산소요구량 증가나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비율, 사망 위험 또한 감소시키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경험적 항생제 치료가 중등도·중증 코로나 환자의 임상 결과를 개선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인 ‘JKMS(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