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더마코리아㈜ (대표이사 김연희)는 자사의 세타필®을 지난 25일 초록우산어린이재단(회장 이제훈)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갈더마코리아㈜는 설날을 앞두고 소외된 이웃들에게 따뜻한 온정을 담아 세타필® 데일리 어드밴스드 로션, 세타필® 모이스쳐라이징 크림, 세타필® 수딩젤 크림, 세타필® 바디워시 제품 등 총 1만 개를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 기부했다. 25일 서울시 서초구에 위치한 갈더마코리아㈜ 본사에서 진행된 전달식에는 갈더마코리아 김연희 대표이사와 오영경 컨슈머케어 사업부 전무,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여승수 서울3지역본부장이 참석했다.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측에 후원한 세타필®은 전국지역아동센터협의회, 변화된미...
이노베이션바이오(대표 김승구)는 글로벌 바이오 CDMO 기업 진스크립트프로바이오(GenScript ProBio, 이하 ‘프로바이오’, 대표 브라이언 민) 면역항암제 CD47 중화항체 임상시료물질 위탁개발 및 생산(CDMO; 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 2020년 포괄적협력계약(Master Service Agreement)을 맺었다.회사에 따르면 CD47 중화항체는 PD-1/PD-L1 억제제 이후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차세대면역관문억제제다. 기존의 PD-1/PD-L1 억제제가 다른 항암제와의 병용 투여되는 것처럼 CD47 중화항체 역시 다양한 항암제와의 병용 투여가 가능해 그 가치가 매우 높다.이노베이...
압타바이오(대표이사 이수진)가 코로나19 치료제 ‘아이수지낙시브(Isuzinaxib, APX-115)’가 미국 FDA 임상 2상에서 안정성이 확보됨에 따라 고용량 투약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아이수지낙시브(APX-115)’는 국내 바이오벤처 신약 중 FDA에서 승인을 받고 유일하게 미국에서 임상 2상을 진행 중인 물질이다. 지난 10월부터 미국 내 9개 병원에서 경증에서 중등도 코로나19 입원환자 80명을 대상으로 투약을 시작했으며 개인별 투약 기간은 1일 1회씩 14일 동안 이뤄진다.‘아이수지낙시브(APX-115)’는 진단 후 14일 이내 환자까지 포함해 넓은 범위로 시험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변이바이러스 외 염증성 증상 및 폐...
암젠(AMGEN)이 지난해 7월부터 올해까지 신약 개발을 위해 유망한 기술을 가진 3개사와 손을 잡았다고 밝혔다.암젠은 올해 1월 11일, ‘아라키스 테라퓨틱스(Arrakis Therapeutics, 이하 아라키스)’와 새로운 ‘RNA 분해 저분자 치료제(small molecule drugs)’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 치료제는 핵산분해효소에 가깝게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해, 질병을 유발하는 단백질의 RNA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저분자 형태로 개발될 예정이다.또한 올해 초에도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단백질 기반 치료제 개발사인 제너레이트 바이오메디슨(Generate Biomedicines, 이하 제너레이트)과 단백질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 협약을 맺었...
제뉴원사이언스(대표 김미연, 이하 제뉴원)가 우정바이오(대표이사 천병년)와 오픈 이노베이션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제뉴원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글로벌 리딩 CDMO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기술 및 사업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오픈 이노베이션 체계를 구축해 CDMO로서 역량을 더욱 강화해나간다는 방침이다.25일 진행된 업무 협약식에는 제뉴원 김미연 대표, 민미홍 중앙연구소장과 우정바이오 천병년 대표이사를 비롯한 양사 관계자가 참석해 상호 발전에 대한 협력 의지를 다졌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연구 파트너이자 오픈 이노베이션 허브로서 공동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제뉴원 김미연 대표는 “오픈 이...
㈜유틸렉스는 전략적인 신약개발 진행을 위해 임상컨설팅 전문회사 메디라마(MediRama)와 26일 MOU를 체결한다.양사는 유틸렉스 세포치료제 및 이중항체 치료제의 ▲추가 후보물질 발굴, ▲비임상 및 임상개발 진행, ▲글로벌 사업개발 전략 마련 등 신약개발 전반에서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메디라마 CSO 문한림 대표는 “메디라마의 노하우를 최대한 활용해 유틸렉스 면역항암제 플랫폼의 글로벌 임상개발 진행을 전폭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유틸렉스 최수영 대표이사는 “양사의 강점을 결합하여 글로벌 임상 및 사업 개발 가속화를 위한 최적의 전략 마련에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피에이치씨는 계열사인 필로시스가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증(코로나19) 신속항원진단키트 ‘Gmate Covid-19 Ag’에 대한 국내 내수용 조건부 제조 허가를 획득해 국내판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피에이치씨는 최근 태국, 독일, 러시아 등 다수의 국가에서 신속진단키트의 허가를 획득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채널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번 국내 식약처 조건부 허가까지 승인되면서 코로나 19에 대한 우수한 진단기술력을 국내외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이번 조건부 허가는 필로시스가 기존 사업인 혈당측정기에 대한 GMP(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만 보유하고 있고, 신속진단키트의 GMP는 보유하고 있지...
바이오파마는 인하대병원 소화기질환유효성평가지원센터(NCEED)와 바이오파마의 고형암 파이프라인인 ‘BP-101’의 전임상 유효성평가 위탁시험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인하대병원 연구소 관계자는 “BP-101은 말라리아 치료제로 사용되는 아르테미시닌(artemisinin)기반의 저분자 합성 화합물이다”라며 “이 물질은 페롭토시스(ferroptosis)기전을 통해 암세포와 암줄기세포를 동시에 나노몰랄(nM) 수준에서 억제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라고 말했다.‘페롭토시스’는 정상세포에 비해 암세포와 암줄기세포에 상대적으로 과량 존재하는 철이온을 이용해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작용기전으로, 최근 항암제에 내성을 보이는 난치암에 효과적...
㈜툴젠(대표 김영호 · 이병화)은 Microfluidics기반 입자 제조 전문기업 엔파티클(대표 고정상)과 유전자가위 전달을 위한 LNP 생산 공정 개발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고 밝혔다.상호 협력을 위해 양사는 작년부터 기술 융합 가능성을 검토하고 두 기술의 접목 가능성에 대한 기초적인 공동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번 업무협약계약을 통해 공동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여 갈 예정이다.“이번 협력을 통해 엔파티클의 Microfluidics 기술을 적용한 유전자 치료제 생산의 상용화에 한발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라고 엔파티클의 고정상 대표는 말했다.툴젠 김영호 대표이사는 “CRISPR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치료제의 경쟁력을 높이기...
엠디뮨이 민간 R&D혁신 유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표창은 R&D 혁신 및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 개인 또는 단체에 수여된다.엠디뮨은 세포유래베지클(Cell-derived Vesicle, CDV)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개발로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의 공로를 인정받아 선정됐다는 설명이다.엠디뮨은 CDV 기반의 바이오드론(BioDrone®) 플랫폼으로 항암제, 난치질환 치료제 개발 등 신약개발 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다. CDV는 엠디뮨의 독자적인 압출 방식을 이용해 생산해 낸다. CDV는 EV(Extracellular Vesicle, 세포외소포체)의 일종으로, EV에서 발견되는 단백질이 EV의 구조, 생성, 이동에 관여하는 성질을 그대...
JNPMEDI(제이앤피메디, 대표 정권호) 글로벌리서치센터는 ‘임상연구의 원격 데이터 수집을 위한 디지털헬스 기술'에 대한 미국식품의약국(FDA) 지침 한국어 번역본을 배포한다고 25일 밝혔다.본 지침은 2021년 12월말에 발간한 ‘Digital Health Technologies for Remote Data Acquisition in Clinical Investigations’를 번역한 것이다. FDA는 임상연구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 소프트웨어 등과 같은 디지털헬스 기술(DHT)을 통해 원격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시했다.세부내용으로는 원격 데이터 수집에 적합한 기술 선택 및 설계, 기술 유용성 검증 방법, 개인정보 보호와 같은 리스크 관리, 데이터 보안 등과 관련된 사항을 다...
GC녹십자웰빙(대표 김상현)과 임상유전체 분석 전문 기관 GC녹십자지놈(대표 기창석)은 천연물 원료 ‘구절초추출물(GCWB106)’의 관절염 개선효과를 입증한 공동연구 논문이 SCI급 국제학술지인 ‘국제 비타민 영양 연구 저널(International Journal for Vitamin and Nutrition Research)’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논문은 골관절염환자를 대상으로 ‘GCWB106’의 관절염 개선효과 및 유전자형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분석한 내용이다. 그 결과, ‘GCWB106’를 12주간 복용한 그룹에서 위약군보다 통증 감소 효과가 있었고, 특히 3가지 특정 유전자형(PPARG, MMP13, ZIP2)을 가진 환자군에서 타 유전자형 환자군에 비해 현저한 통증...
㈜시지바이오(대표이사 유현승)는 자사의 진공 음압 상처 치료기기인 큐라백(CURAVAC) 리뉴얼 버전 제품이 중국의약품관리국(NMPA)으로부터 변경 허가를 획득했다고 24일 밝혔다. 큐라백의 기존 모델은 지난 2012년 NMPA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한 바 있다.회사에 따르면 큐라백 리뉴얼 제품은 기존 모델 대비 ▲드레이프(Drape) ▲흡입헤드 ▲패키징 공정 및 규격 ▲드레싱 방법 ▲흡입튜브 등 총 5가지 부분을 개선해, 상처에 큐라백을 적용하는 시간은 단축시키고 사용 편의성은 높였다.또한 기존 제품은 파우치에 담겨 있는 형태였다면, 리뉴얼 제품은 전자동화 진공 압축 포장방식을 사용해 오염의 위험과 패키지 크기를 대폭 감소시켜 제품...
유비케어(대표 이상경)는 자사의 PMS(Pharmacy Management System, 약국관리시스템) 제품 ‘유팜’ 내 ‘의료비 세액공제 증명자료 제출 간소화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4일 밝혔다.‘의료비 세액공제 증명자료 제출 간소화 서비스’는 ‘유팜’에서 홈택스로 파일 제출하는 업무를 전면 자동화해 증빙 파일을 전산으로 간편하게 제출할 수 있는 기능이다.약국과 병·의원은 소득세법 제 165조 규정에 따라 환자의 의료비 세액공제 증명자료를 국세청에 제출해야 한다. 기존에는 의료기관에서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제출 자료를 선택하고 파일을 업로드 하는 등 세액공제 자료 제출 절차가 불편했다.회사측은 번거로운 자료 제출 업무를 지원하면...
㈜알테오젠(대표이사 박순재)이 바이오베터인 소아용 지속형 인성장호르몬 (ALT-P1) 임상 2상을 위하여 글로벌 규격에 맞는 임상 시험약 생산을 착수함으로서 임상 진행이 순항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알테오젠은 지난해 1월 소아 저신장증 치료 용량 선정을 위하여 인도에서 총 4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성장호르몬이 저하된 성인 대상의 글로벌 임상을 수행한 바 있다. 해당 임상시험에서 전 투여 용량 범위에서 안전성을 확인하였으며 매일 주사하는 데일리 성장호르몬과 비교할 때 유효성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 하였다. 이후 임상 결과를 기반으로 소아 저신장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2, 3상을 준비하고 있었다.이번에 글로벌 임상 2상...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파트너사 콤패스 테라퓨틱스(Compass Therapeutics)가 지난 18일 미국 FDA로부터 이중항체 항암제 ABL001(CTX-009/ES104/NOV1501)의 담도암 환자 대상 임상 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 받았다고 밝혔다.ABL001은 에이비엘바이오가 개발한 차세대 항암 치료제로, 2018년 ABL001에 대한 한국을 제외한 전세계 권리를 트리거 테라퓨틱스(TRIGR Therapeutics)에 이전했으며, 트리거 테라퓨틱스는 지난해 나스닥 상장사 콤패스 테라퓨틱스에 흡수 합병됐다. 콤패스 테라퓨틱스가 보유한 한국 제외 전세계 권리 중 중국 권리는 엘피사이언스(Elpiscience)로 이전돼 중국에서 임상 1/2상이 진행 중이다.국내에서는 ABL...
이노베이션바이오(대표이사 김승구)는 이중카티세포치료제 분야 기초, 중개 및 임상연구에 대한 협력을 진행하기 위해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단장 조석구)과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회사는 ‘인듀라-셀’은 CD19와 CD22 두 개의 항원을 동시에 표적 함으로써 재발율을 낮추는 전략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회사 관계자는 “인듀라-셀과 같은 이중표적 카티세포치료제는 해외에서도 2~3건의 개발 및 임상시험만이 보고되고 있을 정도로 개발 난이도가 높다”며 “자사는 성공적으로 제품개발, 공정개발 및 비임상시험을 완료함으로써 임상시험을 위한 마지막 과정에 진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김승구 이노베이션바이오 대표는...
서지넥스(대표이사 김세준)은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단장 이향숙)과 mRNA물질을 탑재한 나노제형의 생산기술을 위한 자문 계약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금일(21일) 밝혔다.협약 체결에 따라 서지넥스 신약개발본부장 김옥희 이사는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이혁진 교수의 기술 자문을 통해, mRNA 및 siRNA 등 RNA 유전자 전달이 가능한 나노제형 (엑소좀, 리포좀, 지질나노입자) 플랫폼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이번 공동개발은 서지넥스가 보유한 AI(인공지능)기반 고(高)표적율을 지닌 나노입자가 약물(화학화합물 및 단백질)뿐만 아니라 유전체까지 전달할 수 있는 전달력을 확보하기 위해 이온화 지질나노입자(Ionizable Lipid Nano...
한독(대표이사 김영진, 백진기)이 협력하고 있는 미국 콤패스 테라퓨틱스가 18일(미국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차세대 항암 치료제 ‘ABL001(CTX-009)’의 임상 2상 시험계획(IND)을 승인 받았다.회사는 이번 승인은 한독이 국내에서 진행해온 담도암 환자 대상 ‘ABL001(CTX-009)’ 임상 2상이 미국으로 확대되며 글로벌 임상으로 발전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임상 2상 시험계획 승인은 한독이 진행하고 있는 국내 임상 2상 1단계 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빠르게 진행되었고 앞으로 양사는 한독이 주도하고 있는 한국 임상과 동일한 프로토콜로 미국 내 임상 2상을 협력해 진행할 계획이다.한독 김영진 회장은 “현재 진행...
엠디뮨이 입셀과 유도만능줄기세포 기반 바이오드론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엠디뮨은 인체 세포를 압출해 세포유래베지클(Cell-derived Vesicle, CDV)을 생산하는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CDV는 세포외소포체(EV)의 일종으로, 약물전달체로 활용 가능하다. 엠디뮨은 원하는 약물을 탑재해 특정 병변 조직으로 전달하는 CDV 기반 약물전달플랫폼 바이오드론(BioDrone®)을 개발하고 있다.양사는 이번 협약에서 iPSC에 엠디뮨의 세포유래베지클(Cell-derived vesicle, CDV) 생산 기술을 활용하고, 줄기세포 유래 베지클을 기반으로 연골 재생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일반적으로 세포치료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