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이하 ‘질병청’)은 신종 감염병 대유행 대비 및 대응 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 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이를 위해 14일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에서 과제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회는 비임상시험 과제에 참여하는 연구개발기관과 관련 협회, 산·학·연·병 전문가들이 모여 과제 수행 계획안을 공유하고, 애로사항 및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 사업」은 2028년까지 코로나19 mRNA 백신 제품 허가를 목표로, 4년간(2025~2028) 비임상부터 임상3상까지 총 5,052억 원 규모로 연구개발 과제를 지원하는 대형 사업이다. 이 사업은 도전과 혁신성을 인정받아 2024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았으며, 올해 3월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거쳐 사업비와 사업 기간이 확정되었다.

질병관리청 제공
질병관리청 제공
질병청은 지난해 10월부터 코로나19 mRNA 백신 비임상 시험 연구개발 공모 등 사업 준비 절차를 밟아왔고, 올해 4월 4개 과제 수행기관을 선정해 본격적으로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질병청은 다부처 협력을 통해 mRNA 백신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재정·기술 지원 패키지를 제공하고 있으며, 참여 기관이 부담하는 연구개발비를 감축하는 등 민간 기관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코로나19 mRNA 백신이 개발되면, 고위험군 접종에 필요한 백신을 안정적으로 수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발생할 수 있는 팬데믹에도 mRNA 백신 기술을 활용해 100일에서 200일 이내에 신속하게 백신을 개발하고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mRNA 백신 기술을 통해 다양한 감염병과 맞춤형 암 백신, 희귀질환 치료제 등 고부가가치 시장을 개척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본 사업 목표를 달성하여 대한민국의 백신 주권을 강화하고, 글로벌 보건 안보 선도국으로 거듭날 것”이라며 “미래 팬데믹 발생 시 국내 기술과 역량으로 초고속으로 백신을 개발해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사회·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